한국비철금속협회가 미국 정부의 알루미늄·구리에 대한 50% 고율 관세 부과 조치와 관련해 국내 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국회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협회는 지난 2일 국회에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경남 김해을)과 간담회를 갖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면담에는 노벨리스코리아, 대창, 능원금속공업, 대한전선, LS MnM 등 주요 업계 관계자도 참석했다.
협회 측은 △대미 알루미늄·구리 수출 구조 △관세 인상에 따른 산업 피해 △중소기업 위주의 비철금속 업계 현실 등을 설명하고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미국 전체 수입에서 한국산 비중은 3.9%에 불과하지만, 수출 품목의 80%가 전기차·소비재 산업에 필요한 압연재 등 핵심 소재라는 점을 강조했다. 원재료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영업이익률도 2~3% 수준에 그치는 산업 특성상 고율 관세는 대미 수출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구리 제품 역시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이 2.7%에 그치고, 동관·동판·동봉 등 범용제품 위주라 가격 경쟁력이 낮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협회는 이번 조치가 한국 기업뿐 아니라 미국 내 전기차·소비재 산업에도 공급 차질과 가격 상승을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철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원책이 부족한 비철금속 업계는 중소기업 비중이 커 충격이 더 클 수 있다”며 국회 차원의 제도적·재정적 보완책 마련을 요청했다.
김정호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업계가 느끼는 위기에 공감한다”며 “국회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협회는 정기국회를 계기로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책이 논의되도록 지속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계획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