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이 추진 중인 ‘대구시 9개 구·군 예산정책협의회’에 대구 서구청이 2년 연속 불참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 대구시당은 3일 군위군청을 시작으로 8개 구·군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지역 경제 활력 제고와 생활 밀착형 예산 확보 방안을 논의한다. 협의회에는 시당 12개 지역위원장과 지방의원, 구·군 예산 담당 공무원 등이 참석한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구 지역 공약 이행 방안도 논의 대상이다. 민주당은 중앙정부·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현안과 주민 요구를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서구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협의 요청을 거부했다. 다른 구·군이 당정협의회 직후에도 실무회의를 이어가며 국비 확보에 나서는 것과 달리, 서구청은 주민을 위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대구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지방재정은 균형 잡힌 지역개발과 정책 실현을 위해 중앙정부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서구청은 주민을 위한 의지를 보이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시당 측은 “서구는 염색산업단지와 환경기초시설(음식물·분뇨·침출수 처리장 등)로 인해 주민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이는 서구 발전을 가로막는 중대한 걸림돌”이라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중앙정부와 대구시의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서구청장이 소통의 자리를 거부하는 것은 주민 삶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날을 세웠다.
또 “이는 중앙정부와의 협력 창구를 스스로 닫아버림으로써 지역 발전의 기회를 차단하고, 서구 주민의 권익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면서 “결국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가게 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도 성토가 이어졌다. 서구 주민들은 “아 진짜 서구 뜨고싶다”, “이러니 서구가 다른 구군에 비해 퇴보하나 보다”, “논의 자리조차 안 나가는 거는 직무유기”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서구청 측은 해명에 나섰다.
서구청 관계자는 “현재 국비가 필요한 주요 인프라 사업이 없고 현안 사업은 원활히 추진 중이며 내년 상반기 대부분 마무리된다”며 “향후 국비사업이 생기면 언제든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염색산단 이전, 서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건립 등 미래 발전 사업은 대구시와 수시로 협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장은희·황인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