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바뀌고 나니 공직 사회가 조금 흔들린다는 느낌을 받는다. 연일 회의 때 대통령의 지적을 받는다. 핑계를 대다가 혼이 나기도 한다. 그냥 대충 굴러가다가 제대로 임자 만난 그런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마치 그동안 놀고먹었다는 느낌까지 드는 것은 왜일까?
공무원이 되는 것이 꿈이었던 시절이 어느새 힘들어 공무원 못 하겠다면서 퇴직하는 젊은 공무원들이 넘쳐난다는 소식을 접한다. 정말 그럴까? 괜한 의문이 든다. 얼마 전 코로나 시절을 떠올린다. 전 국민의 대부분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이들의 생활을 떠올리게 된다. 생계가 막막해져 거의 굶어 죽을 지경이라 한 커피점 사장은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매한가지라며 닫고 있던 가게 문을 열었다. 중소기업은 직원을 내보내는 것으로 버텨야만 했다. 그런 상황에서도 공무원 월급은 제날짜에 꼬박꼬박 나와 주위의 부러움을 샀다. 월급은 국민 세금으로 지급되기에 조금은 빈정 상한다. 그런 공무원이 월급이 작아서 혹은 업무가 과다해서 일을 그만둔단다. 이해가 참으로 가지 않는다.
복지부동(伏地不動)이란 말은 공무원들 일하는 태도를 보고 자주 사용했다. 무사안일(無事安逸)도 마찬가지다. 일을 만들면 번거롭기만 해서 시키는 일만 하는 척하면 된다. 절대 잘할 필요도 없고 괜히 잘난 척 앞서 나갈 이유도 없었다. 일 잘한다는 소문이 나면 일만 늘어날 뿐이지 금전적 보상이라든지 이런 건 없다. 때 되면 진급만 제대로 시켜주면 큰 불만도 없다. 그럭저럭 지내다가 동장(洞長)하다 동에서 마련한 전별금 두둑이 챙기고 정년퇴직하면 된다. 그래서 또 하나 이름이 붙었다. ‘철밥통’이란 말이다.
공무원들 비하하는 말인데 이게 공무원들조차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는 게 문제이다. 죽도록 일해서 벌어먹는 소상공인이나 일반 소규모 공장에 다니는 파리 목숨인 사람들로서는 상상조차 못 하는 복지혜택을 누리기에 다소 불만이 있더라도 쉽사리 그 자리를 포기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어떻게 된 공무원인데 쉽게 포기하겠는가. 거의 고시처럼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들어온 곳이 아닌가.
그런데 공무원들과 자주 접하다 보니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일부 고참 공무원들의 고압적이고 권위주의적 업무행태가 젊은 세대들과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뭔가 제대로 해 보려고 하지만 주위 벽이 너무 높아 좌절한다. 그런 기득권을 가진 이들 때문에 젊은 공무원들이 빠져나가지 않는지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출직 공무원들이 요즘 인사권을 쥐고 흔들어 그나마 움직이는 척이라도 하는 게 요즘 분위기라지만 그래도 선출직 입에선 관료주의 때문에 일이 안 된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온다. 행시주육(行尸走肉)이라는 말이 있다. 걸어 다니는 시체와 뛰어다니는 살덩어리라는 뜻이다. 배움이 천박해 쓸모없고 무능한 사람을 비유한다. 사람으로 태어나 어디서 이런 대접은 받지 않고 제대로 인정받으면서 살고픈 게 우리네 인생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공무원 월급은 나온다. 국회의원 월급도 나온다. 판사 검사 월급도 딱딱 챙기면서 호의호식하면서 산다. 우리는 이들 월급 주려고 오늘도 뼈 빠지게 열심히 일한다.
/노병철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