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우 대구신용보증재단 이사장 선출직 경험으로 얻은 유연함·카리스마 있는 리더십 큰 장점 최대 실적으로 2025년 대구시 출자·출연기관 경영 평가 1위 대구 유일 정책 금융기관으로서 ‘지역경제 선도 플랫폼’ 도약 보증공급 확대·지역 밀착 금융 서비스·소상공인 종합지원 등
“내실 있고 단단한 신용보증재단을 만들어 나가겠다.”
박진우(69) 대구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의 말이다.
지난 2023년 9월 대구신용보증재단 제10대 이사장에 취임한 박진우 이사장은 최근 제11대 이사장으로 연임이 결정됐다.
박 이사장은 “연임이 결정된 이유는 더욱 충실하게 재단을 이끌어달라는 지역사회의 기대라고 생각한다”며 “경제가 매우 어려운 시기인 만큼 대구신보가 더욱 촘촘한 금융 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역대 대구신보 이사장들과는 다른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연세대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박 이사장은 “금융계열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일찍이 금융권에 관심이 많아 이쪽 분야에서 줄곧 일을 해왔다”면서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느낀 거지만, 금융 일은 수 개념도 빨라야 하겠지만 우선 머리가 맑아야 한다. 난 사실 머리가 맑은 사람이다”고 웃으며 말했다.
실제, 박 이사장은 신용협동조합중앙회 중앙회장,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감독 자문위원, 경북신용보증재단 이사장 등 금융 분야 경험과 더불어 경북도 사회복지협의회 회장, 한국노인복지중앙회 회장, 경북도 새마을회 회장, 경북도청 사회일자리경제 특별보좌관, 청도공영사업공사 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그는 “아마도 금융 일을 하면서 선출직까지 경험한 사람은 나밖에 없을 것”이라며 “금융업무를 하다 보면 차갑고 딱딱한 이미지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선출직을 경험한 덕에 사람들을 대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나의 유연함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박 이사장의 유연하면서도 카리스마 있는 리더십은 경영 성과에서 빛을 발했다.
대구신보는 2025년 대구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2조 2800억원 규모의 신용보증을 공급하며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결과이다. 특히 지역내총생산(GRDP)과 사업체 수 등 지역경제 규모를 감안할 때 전국 17개 지역 신용보증재단 가운데 1위 수준의 공급 역량을 입증한 것이다.
또 대구신보는 2025년 보증공급 목표를 전년 대비 3000억 원 증액한 총 2조 원으로 설정해 소상공인의 자금 수요에 적극 대응한 결과 지난 8월 12일 기준 목표를 조기에 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박 이사장은 “대구신보는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의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구 유일의 정책금융기관인 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면서 “지역 소상공인의 든든한 금융안전망을 넘어 ‘지역경제 선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모두가 힘든 시기이다. 특히 정책금융의 사각지대에서 소외되는 소상공인들이 없도록 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3가지 핵심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첫 번째는 보증공급 확대 지속 추진이다. 2025년부터 향후 5년간 10조 원 이상을 공급해 지역 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특화 보증상품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두 번째는 지역 밀착 금융서비스 확대이다. 신규 지점 신설과 인력 충원을 통해 현장 접근성을 강화하고, 지역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해 소상공인이 가까운 곳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인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대구형 소상공인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이다. 재단 자가 사옥을 마련해 유관기관을 한곳에 집적하고, 경영컨설팅, 창업지원, 금융복지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소상공인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조성한다.
박 이사장은 “대구신용보증재단은 담보력이 부족한 기업에 신용보증을 제공하고, 소상공인들의 자생력과 경영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기관이기에 조직이 단단하고 견고해야 한다”면서 “재단 간부들과 힘을 모아 대구신용보증재단이 전국 어느 재단보다도 내실 있고 단단한 재단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소상공인에게 희망을, 골목상권에 활력을’이라는 경영 슬로건 아래 빈틈없는 금융지원과 맞춤형 정책을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덧붙였다.
글·사진/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