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러시아에 대한 압력의 일환··· 인도에 2차관세 25% 부과
미국 정부가 27일 러시아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산 원유를 구입하고 있는 인도에 25%의 추가관세를 발동했다. 지난 7일에 발동했던 25%의 상호관세에 추가돼 총 누적관세율은 브라질과 같은 최고수준으로 50%에 달한다.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대인도 추가관세를 명령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러시아산 원유 구매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 간접적으로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와의 정전에 합의하라는 압박 전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2차 관세(secondary tariff)’라고 명명했다.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동부시간 27일 오전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에 발효된다.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최근 CNBC 인터뷰에서 “인도가 러시아산 저가 원유를 사들여 제3국에 되팔아 폭리를 취하고 있다”며, 그 초과 이익을 160억달러(약 22조3190억원)로 추산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인도의 원유 수입량이 급증한 가운데, 미·인도 간 통상 협상은 7월 하순 인도 측 협상단 철수 이후 사실상 중단됐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단기간 내 합의 도출이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결국 인도와 브라질은 관세부담 회피를 위해 최근 중국과의 접촉을 늘리고 있다. 모디 인도 총리는 오는 8월 31일 중국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는 7년 만의 방중이다.
미국은 추가 관세 이후에도 인도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 경제·군사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미 국무부는 지난 25일 양국 고위 외교·국방 당국자가 온라인 회의를 열어 에너지 안보, 민생용 원자력 협력, 방위산업 연계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에서는 인도가 일본, 호주와 함께 ‘쿼드(Quad)’의 핵심 회원국이라며, 향후 미·인 관계가 균열되면 일본의 안보 전략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