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은 493억원 감소 전환···기업대출 부진 영향
대구·경북지역 금융기관 수신이 6월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큰 폭 늘었다. 그러나 여신은 예금은행 증가폭 둔화와 비은행권 감소폭 확대 탓에 감소로 돌아섰다.
△수신···비은행권 증가폭 확대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6일 발표한 ‘2025년 6월중 대구경북지역 금융기관 수신 및 여신 동향’에 따르면 6월 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2조521억원 늘어 전월(1조5085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예금은행 수신은 7581억원 증가해 전월(1조2723억원)보다 둔화됐다. 정기예금이 10억원 증가에 그쳐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지만, 금융채·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 중심의 시장성 수신은 7571억원 늘며 감소세에서 증가로 전환했다. 전국 예금은행 수신은 39조9409억원 늘어 전월(7조8484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비은행기관 수신은 1조2940억원 늘어 전월(2362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커졌다. 신탁회사는 9037억원 늘어 감소세에서 증가로 전환됐고, 상호금융도 3689억원 증가하며 전월(3097억원)보다 확대됐다. 전국 비은행권 수신은 11조1152억원 감소해 전월(40조5452억원 증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했다.
△여신···기업대출 부진에 감소 전환
6월 대구·경북 금융기관 여신은 493억원 줄어 전월(3020억원 증가)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예금은행 여신은 793억원 늘어 전월(3489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업대출이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강화로 1155억원 감소하며 증가에서 하락으로 돌아섰다. 반면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2044억원 늘어 전월(1226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대구·경북 주택매매 거래량은 4월 6900호, 5월 7100호, 6월 7300호로 꾸준히 늘고 있어 이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국 여신도 가계대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기업대출이 줄어 증가폭이 1조8381억원으로 전월(14조4,376억원)보다 크게 축소됐다.
비은행기관 여신은 1286억원 줄어 전월(469억원 감소)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상호금융은 2177억원 늘었지만, 새마을금고(-1684억원)를 비롯한 나머지 비은행기관은 모두 줄었다. 전국 비은행권 여신도 기업대출 감소 영향으로 2조8037억원 줄어 전월(1조860억원 증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됐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