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6개 브랜드 비교평가···배터리·방수·화각 등 차이 커
여행과 브이로그, 스포츠·레저 촬영 수요가 늘면서 ‘액션카메라’ 시장이 확대되고 있지만, 제품 간 성능 차이가 크고 일부는 표시·광고 내용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25일 고프로, DJI, 인스타360, 유프로, 내셔널지오그래픽, 에이스원 등 6개 브랜드 액션카메라의 화질, 영상 안정성, 배터리, 방수, 블랙박스 모드 등 주요 성능과 안전성을 비교·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상세한 평가결과는 소비자 포털 ‘소비자24’의 ‘비교공감’ 코너를 통해 제공된다.
△화질·흔들림 안정성 상위권 3개 브랜드
색재현·해상력 등 6개 세부 항목을 종합한 화질 평가와 전자식 흔들림 보정(EIS) 기능에서 HERO13 블랙(고프로), 오스모 액션5 프로(DJI), ACE 프로2(인스타360)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제품은 최대 화각이 광고보다 18~32도 좁았으며, 방수 성능도 표시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최고 해상도 촬영 시 녹화 중단 사례
HERO13 블랙과 ACE 프로2는 4K, 30fps 조건에서는 안정적이었지만, 최고 해상도(5.3K 또는 8K) 촬영 시 과열 경고 후 녹화가 중단된 사례도 확인됐다. 두 제품 모두 사용설명서와 홈페이지에 관련 안내가 없었기에 개선 권고를 수용해 표시 내용을 보완하기로 했다.
△배터리·방수·블랙박스 모드도 차이
배터리 성능에서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액션캠 프로’가 2시간 49분으로 가장 장시간 촬영할 수 있었고, 에이스원의 ‘XPRO3 듀얼’은 1시간 41분으로 가장 짧았다. 충전 시간은 DJI ‘오스모 액션5 프로’가 54분으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방수 기능이 있는 4개 제품 중 액션캠 프로는 광고상 12m 수심까지 가능하다고 했으나 실제 10m에서 전원이 꺼졌다.
또 블랙박스 기능을 홍보한 4개 제품 중 3개는 저온(-20℃) 또는 고온(70℃) 환경에서 녹화가 중단되거나 전원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안전성은 전 제품 ‘기준 적합’
배터리 안전성, 유해물질, 온도 상승 등 안전성 항목은 모든 제품에서 관련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다만 일부 제품은 본체나 배터리에 제조일자, 제조자, 배터리셀 명칭 등의 의무표시사항이 빠져 개선 권고를 받았다.
나은수 소비자원 스마트제품시험국 기계모빌리티팀장은 “액션카메라는 사용 목적과 환경에 맞춰 화질, 흔들림 보정, 배터리 성능, 부가기능 등을 비교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앞으로도 영상 촬영 기기의 안전성과 품질 비교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