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처서가 지났다. 기승을 부리던 파리, 모기가 사라지는 무렵이란 뜻이다. 그렇게 여름이 지나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되는 때이건만 더위는 여전하다. 연일 낮 최고 기온이 30도를 웃돌고 있다.
이런 더위에는 시원한 음식으로 식도락을 즐기는 것만큼 좋은 일이 없을 것이다. 안동에는 민가 최고의 고조리서 ‘수운잡방’과 한글조리서 ‘음식디미방’이 전해져 온다. 조선시대의 식생활과 음식 문화를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수운잡방’은 1500년대 초에 저술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조리서 중의 하나로 조선 중종 때 오천군자리의 탁청정 김유와 문정공 김령이 우리나라의 전통 요리법에 관해서 저술한 책이다. 음식 조리는 물론이고 술 빚기, 김치, 장류, 식초, 채소 저장하기 등 재료의 사용에서 조리, 가공법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식생활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희귀서이다. 복숭아, 가지, 생포 간수법 등을 보면 냉장고가 없던 시절 어떻게 음식을 보관했으며 제철이 아닌 나물 쓰는 법 등을 보면 비닐하우스 재배와 같은 방법으로 겨울철에도 야채와 과일을 즐겼음을 알 수 있다.
‘음식디미방’은 영남의 신사임당으로 불리는 장계향이 말년에 저술한 한글조리서로 복숭아, 가지, 생포 간수법 등 냉장고가 없던 시절 어떻게 음식을 보관했으며 제철이 아닌 나물 쓰는 법 등을 보면 비닐하우스 재배와 같은 방법으로 겨울철에도 채소와 과일을 즐겼음을 알 수 있다.
농경사회에서 우리 민족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제철 음식을 먹고 저장하면서 세시풍속을 지켜왔다. 늦여름 무더위에 지쳤을 때는 살얼음 띄워진 시원한 콩 국물에 국수를 말아 한 그릇 뚝딱해도 좋고 달콤한 초장을 얹은 비빔국수에 오이, 삶은 달걀을 얹어 먹어도 별미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 땅에서 자란 채소로 만든 건강한 음식으로 이 더위를 거뜬히 이겨낼 수 있으리라.
삶아 건져내 간이 슴슴하게 무쳐낸 콩나물, 고춧가루를 넣어 버무린 여름 무 생채,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사리, 마늘을 빻아 넣어 풍미를 더한 시금치, 해독 작용이 뛰어나고 시원한 맛으로 여름 입맛 살리기에 좋은 미나리, 겨우내 말렸던 묵나물, 삶은 호박잎에 갓 캐낸 감자를 쪄내고 거기에 강된장까지 곁들여 먹으면 든든한 한 상 완성으로 늦여름 무더위 따위야 물러날 것이다.
/백소애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