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하이니켈·고전압 미드니켈 개발 완료··· 프리미엄부터 엔트리 시장까지 정조준
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 전기차부터 스탠다드·엔트리 모델까지 대응 가능한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 회사는 최근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을 마치고 양산 체제 준비에 들어갔다.
현재 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N8x) 제품을 공급 중인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신소재 개발로 고객사 수요 다변화와 시장 경쟁력 강화를 노린다는 전략이다.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95% 이상으로 높여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소재다. 주행거리 향상은 물론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차 등 전력 소모가 큰 미래 모빌리티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다만 고니켈 특성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포스코퓨처엠은 단결정 소재와 표면 코팅 기술을 접목해 안전성과 수명을 보완했다. 소성공정 개선을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도 병행했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60% 수준으로 낮추면서도 고전압 구현으로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는 제품이다. 망간 비율 확대와 단결정화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으며, 저가 원료 활용으로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다. 포스코퓨처엠은 이 소재를 스탠다드 전기차 시장 공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또한 회사는 지난 5월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함께 LMR(리튬·망간·리치드)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도 마쳤다. GM·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LMR 배터리 도입 계획을 밝히면서, 포스코퓨처엠은 연내 양산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LMR은 기존 LFP 대비 리사이클링 가치가 높고 기존 생산라인 활용이 가능해 엔트리 전기차 시장에서 빠른 확산이 기대된다.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개발 현황
구분 | 제품 | 내용 |
Premium | 울트라 하이니켈 | - 니켈 비중 95% 이상의 제품으로 전기차 주행거리를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높인 프리미엄 제품 |
Standard | 고전압 미드니켈 | - 니켈 비중은 낮으나(60% 내외) 높은 전압을 통해 에너지밀도 최대화 (주행거리 확대 가능) |
Entry | 망간리치 (LMR) |
- 니켈•코발트 비중을 낮추고 망간 비중을 높여 가격경쟁력과 안정성을 높임 - 리사이클링 고려 시 LFP와 가격 유사, 에너지밀도 +30% |
자료: 포스코퓨처엠
포스코그룹은 차세대 배터리 소재 경쟁력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미래기술연구원에서 황화리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 음극재 등 차세대 기술 개발을 병행하며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 선도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