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합천에서 만난 가야의 목소리

등록일 2025-08-17 19:22 게재일 2025-08-18 12면
스크랩버튼
대가야 전성기의 중심지 
옥천 고분군에서는 많은 가야유물 쏟아져
Second alt text
합천 대가야 고분군. 이곳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합천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가야인의 흔적을 찾아 경상남도 합천으로 향했다. 합천은 대야, 대량으로 불리며 대가야 전성기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400년, 광개토태왕의 남정으로 가락국이 큰 타격을 입자 일부 세력이 이주해 새로운 문명을 꽃피웠다고 전해진다. 그 증거로 합천에서는 대가야식 고분보다 가락국 양식인 덧널무덤이 더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합천의 위상은 역사 속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 식민사관의 영향으로 일부 역사 학자들은 합천을 ‘일본서기’의 다라국과 연결지었다. 일본의 사학자 이마니시 류는 대량과 다라의 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스에마쓰 야스카즈는 ‘임나흥망사’에서 아예 합천을 다라로 비정했다. 그것은 단지 표면적 음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역사의 본질을 왜곡한 억지에 지나지 않는다.

옥전 고분군 주변에 ‘다라리’ 마을이 있다고 다라국으로 주장하는 역사학자도 있다.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달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일 뿐이다. 오히려 대야국, 대량국이라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쇠퇴한 가락국 세력이 옮겨와 새로운 땅에서 문화를 꽃피운 세력일 것이다. 중국 양나라 ‘양직공도’의 기록 역시 사신들의 그림 중심 자료로 오늘날 지명과 단정적으로 잇기에는 무리가 있다.

합천에는 가야의 흔적이 곳곳에 살아 있다. 옥전 고분군은 4~6세기 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토기와 환두대도, 금동 투구 등 찬란한 유물이 쏟아졌다. 언덕 위에 촘촘히 자리한 고분들은 마치 시간을 품은 채 숨 쉬고 있는 듯했다. 삼가 고분군에는 다양한 양식의 무덤들이 혼재해 가야 고분의 변천사를 한눈에 보여준다. ‘대왕’이라 새겨진 토기는 가야에 실질적인 왕이 존재했음을 증명한다.

합천박물관에 들어서면 환두대도의 모형이 당시 지배자의 위용을 떠올리게 한다. 출자형 금동관의 섬세한 장식은 신라의 금관과 견줄 만큼 정교하다. 옥전 고분에서 출토된 로만 글라스는 황강을 따라 이루어진 동서 교역의 흔적이다. 그것은 합천이 고립된 지역이 아니라 활발히 교역하며 열린 문화를 누렸음을 잘 보여준다. 성산 토성은 황강을 감싸 안듯 자리한 방어 유적으로 흙과 돌이 어우러져 견고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합천의 유물은 단순한 돌이나 금속 조각이 아니다. 그 속에는 땅을 일구고 철을 제련하며 장식과 무기를 만들고 문명을 일구었던 사람들의 삶과 영혼이 깃들어 있다. 고분 앞에 서면 과거와 현재가 맞닿아 맥동하는 듯한 실감이 전해진다. 그런데도 여전히 일부 사학자는 그 땅이 ‘다라국’이었다고 주장한다. 역사를 바라보는 양심은 어디에 있는가.

합천, 대야는 오늘도 진실을 향해 묵묵히 외치고 있다. 침묵 속에서도 그 외침은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이들의 귀에 또렷이 들린다. 황강 위로 저녁 햇살이 번지자 마치 가야의 기억이 강물 속에서 다시 깨어나는 듯했다. 그 빛을 바라보며, 잊힌 역사를 되찾는 길 위에 서 있음을 실감했다. 

/김성문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