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동해안 ‘제조·서비스업’ 혼조세 지속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8-12 16:59 게재일 2025-08-13 6면
스크랩버튼
한은포항 6월 실물경제동향
제조업 일부 분야별 엇갈린 흐름
대체 관광지에 방문객 유입 늘어 
수산업 생산량 감소·생산액 증가
수출입 하락·설비투자 지표 상승

경북동해안지역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혼조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수산업은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12일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경북동해안지역 실물경제동향’에 따르면 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군 등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부문별로 조금씩 희비가 엇갈리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제조업은 일부 분야 엇갈린 흐름
포항 철강산업단지 생산액은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했으나,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조강 생산량은 기저효과 영향으로 26.7% 증가한 116만4000t을 기록했다. 전체 포스코 조강 생산량은 광양 제철소를 포함해 10.9% 늘어난 295만5000t에 달했다. 다만, 1차 금속과 석유화학 제품 생산은 각각 5.5%, 1.0% 줄어들어 일부 업종의 부진이 지속됐다.

경주 지역 자동차부품 생산은 SUV 차량 생산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지역별 차별화···관광객 유입은 증가
경주 보문단지의 숙박객 수는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 모두 감소하며 24.5% 줄었으나, 경북 동해안 전체 방문객 수는 4.4% 늘어나 대체 관광지의 방문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울릉도 관광객은 14.3% 감소했고, 포항 운하크루즈 탑승객 수 역시 소폭 줄었으나 운하 방문객은 전년 동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수산업은 생산량 큰 폭 감소, 생산액은 증가
수산물 생산량은  어류와 갑각류 생산이 각각 36.3%, 27.9% 줄어들며 생산량 전체로는 전년 동월 대비 28.1% 감소했다. 반면 연체동물 생산은 60.9% 증가하고 전체 수산물 생산액은 단가 상승 등으로 17.0% 늘었다. 

△수출·수입·소비는 하락, 투자 지표는 상승
경북 동해안 지역 수출은 7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9.8% 감소했다. 화학공업 제품과 철강금속 제품 수출이 각각 50.6%, 5.9% 줄었으나, 기계류 수출은 9.6% 증가해 일부 품목은 선전했다. 지역별로는 포항 수출이 23.6% 감소한 반면 경주는 자동차부품 등이 트럼프관세 발동 이전 조기 선적 등의 영향도 있어 0.6% 소폭 증가했다.

수입은 6억5000만 달러로 17.4% 줄었으며 광산물, 화학공업제품, 철강금속제품 등 대부분 품목에서 감소세가 뚜렷했다. 소비 측면에서는 포항과 경주 지역 주요 중대형 유통업체 판매액이 2.8% 줄었으며, 의복·신발 및 가전제품 판매 부진이 컸다. 다만 식료품 판매는 5.4% 증가했다.

자동차 등록 대수는 74.8% 급감해 내구재 소비 위축이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반면, 설비투자 지표인 자본재 수입액은 22.0% 증가했으며, 건축 착공 면적과 허가 면적도 각각 434.3%, 117.1% 늘어 건설투자 부문에서는 회복 조짐이 감지된다. 다만 제조업 설비투자 기대지수(BSI)는 전월 대비 하락했다.

△부동산시장 동향
포항과 경주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각각 0.5%, 0.3% 하락했으며 전세가격도 0.4%씩 떨어졌다. 주택 매매 건수는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해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 약세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