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어업기술원은 고수온 대응 ‘신(新) 양식 기술 및 대체 어종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최근 여름철 고수온으로 양식 어가가 겪는 피해는 예측 불가능한 수준으로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경북 지역의 육상양식장 피해 규모는 1억 3500만원에 그쳤으나, 2024년에는 31억 4100만원으로 급증했다.
해수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은 일시적 양식 어류의 폐사를 넘어 양식산업 전반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는 수준이다. 양식어민들도 고수온에 의한 양식어종 폐사 피해를 막기 위한 다양한 대책마련과 지원책을 강구할 것을 지자체와 정부에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포항의 한 양식어민은 “양식중인 물고기를 살리기 위해 여러가지 장비를 동원해 적정수온을 유지하려고 해도 소요비용이 너무 커서 애를 먹는다”면서 “이런식의 비용상승이 지속되면 양식어업을 접어야 하는 날도 머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경북도 어업기술원은 강도다리 고수온 회피 시험양식과 고수온 대체 어종 말쥐치 완전양식 기술개발 시험양식 등을 추진한다. 기존 양식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미래 양식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양식 기술 혁신의 선도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고수온 회피 시험양식으로 강도다리를 포항시 북구 청하면 방어리 해역 내 수심 40~50m 깊이의 해상가두리 10조에서 양식 시험을 한다.
각 수조에 강도다리 1만 마리씩 총 10만 마리를 키워 사료공급 시험구와 절식 상태의 대조구를 시험 양식해 고수온 회피에 따른 생존율과 성장률을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
고수온에 약한 강도다리를 대체할 아열대성 어종인 말쥐치 완전양식 기술개발 시험양식에도 도전한다. 말쥐치는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방류와 양식되고 있는 어종으로 경북 동해안에서 직접 어미를 관리해 종자 생산에 성공한 어종이다.
길이 5~8cm의 건강한 치어 24만 마리를 포항과 울진의 해상가두리와 축제식 양식장에 들여다 키우며 다양한 환경에서 시험 양식을 진행할 계획이다. 어업기술원은 이를 통해 말쥐치가 고수온 대응 대체품종으로서 갖는 생존력과 양식 가능성을 여러모로 검증할 계획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고수온으로 양식산업이 큰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양식산업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