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2억 2300만 원 배정… 안동 14억·의성 9억과 대조 5년간 동결 각종 사업·행사 축소로 이어져 ‘소극 행정’ 도마
포항시가 포항문화원에 지원하는 사업 예산이 경북 지역 22개 문화원 중 15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원의 설립 취지에 맞는 업무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 확대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포항시의 2025년 포항문화원 사업비는 2억 2300만 원에 그친다. 문화원은 자체 재원 확보를 위해 회원들의 회비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안동문화원(14억900만원·6.28배), 의성문화원(9억9000만원·4.12배), 경주문화원(6억2000만원·2.78배) 등과 비교해 예산 규모가 현저히 적다.
포항문화원 임원 K씨는 이와 관련 “최근 5년간 소비자물가지수가 40% 이상 상승했음에도 포항시의 지원금은 한 번도 인상되지 않았다”며 “매년 예산 절감 압박에 시달리며 주요 행사와 프로그램을 축소하거나 폐지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대표 행사인 ‘포항 단오절 민속축제’는 과거 2000여 명이 참여하던 대규모 행사에서 현재는 800여 명 규모의 소규모 행사로 축소됐고, 일부 프로그램은 아예 중단됐다.
포항문화원 부설 포항문화연구소의 지역 지형과 지명의 변천사를 기록하는 ‘포항의 고지도’ 출간 사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포항시가 2년 연속 예산(1500만 원) 배정을 거부하면서 연구위원들이 사비로 자료를 수집하고 원고를 집필했다. 해당 사업을 주도한 A 박사는 “포항시가 역사적 자료의 가치와 긴급성을 외면하고 있다”며 “소중한 문화유산이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고 우려했다.
포항시는 “문화원이 정부 공모사업 참여 나 신규 사업 기획을 등 자구책 마련에 소홀했다”고 반박하고 있으나, 문화계 인사들은 “지자체장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이 근본 문제”라고 분석하고 있다.
향토사학자 B 씨는 “지방소멸 위기 속 문화원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에서 포항시의 예산 동결은 문화적 역량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 무엇보다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되어 200억원을 받은 도시가 문화원을 방치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문화정책 전문가 C 교수는 “전문 인력 양성 없이 기존 인력마저 이탈하는 상황에서 과 중장기 계획 부재가 심각하다”고 꼬집었다.
김윤규 포항문화연구소 부소장은 최근 학술대회 경험을 언급하며 “포항은 예천·상주 등보다 예산이 적어 문화적 역량이 떨어지고 시민들의 자존심이 훼손되고 있다”며 “연구위원회가 자체 예산으로라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지만, 추가 지원이 있다면 더 많은 연구와 문화 공유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