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한 598억 달러를 기록하며 1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며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이 수출 회복을 견인했다. 수입은 3.3% 증가한 507억 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91억 달러 흑자를 나타내며 5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관세청이 15일 발표한 ‘2025년 6월 수출입 동향(확정치)’에 따르면, 반도체·선박·자동차부품 등이 수출 증가를 이끌었고, 유럽연합(EU), 대만,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도 확대됐다. 다만, 중국·미국·베트남 등 주요 시장에서는 수출이 감소해 지역별 편차는 여전했다. 게다가 올해 상반기 누계기준 수출액은 3347억 21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0.03% 감소했다.
6월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11.3%), 선박(64.8%), 자동차 부품(1.8%)이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승용차(-0.3%), 석유제품(-0.9%), 무선통신기기(-37.4%) 등은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는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며 전체 수출 실적을 끌어올렸고, 선박은 대규모 수주 물량의 인도 효과로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승용차는 글로벌 수요 둔화 여파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국가별로는 EU(14.7%), 대만(31.1%), 일본(2.9%), 중동(14.7%)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중국(-2.7%)과 미국(-0.5%), 베트남(-3.7%) 등에서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특히 중국은 올해 들어 6개월 중 5개월 동안 수출이 줄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6월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3.3% 늘어난 507억 달러로 집계됐다. 기계류(13.6%), 비철금속광(79.8%), 승용차(7.3%) 등의 수입이 증가했지만, 원유(-15.2%), 가전제품(-1.3%), 컴퓨터(-31.8%) 등은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자본재 수입이 14.8% 증가해 생산설비 투자 회복 기대감을 높였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45.3%) 등도 대폭 늘었다. 반면, 원자재 수입은 6.4% 감소했다.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원유(–15.2%)와 가스(–7.1%) 수입이 줄었고, 석유제품도 33.1%나 감소했다. 소비재 수입은 7.6% 증가했다. 의류(4.4%)·승용차(7.3%) 등 수요가 늘었고, 반면 대두(–15.0%)·담배(–9.7%) 등은 줄었다.
국가별로는 중국(5.1%), 미국(8.8%), 일본(15.5%), 대만(30.0%) 등에서의 수입이 늘어났지만, 중동(–26.4%), 호주(–11.3%)에서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6월 무역수지는 91억 달러 흑자로 집계되며, 지난 2월부터 5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특히 수출 중량도 전월 대비 10.8% 증가해 실질적인 물량 회복세도 동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업계의 한 관계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첨단 수출 회복세가 수출 전환을 이끌었으며, 국제유가 하락으로 원유 수입단가도 낮아져 무역수지 개선에 이바지했다"라고 평가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