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美·中 해상 운임 상승···EU 항로는 수출입 모두 하락세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7-15 11:27 게재일 2025-07-16 6면
스크랩버튼
관세청 ‘6월 수출입운송비용 현황’···“거리·노선별 희비 갈려”
Second alt text
관세청에 따르면 6월 수출입 운송비용이 항로별로 엇갈린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6월 수출입 운송비용이 항로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해상 수출은 미국과 아시아 주요 항로에서 상승세를 보인 반면, 유럽연합(EU) 항로는 수출과 수입 모두 하락했다. 항공 운임도 유럽 수입은 급등했지만 미주 및 근거리 노선은 대부분 하락하며 노선별 명암이 갈렸다.

관세청이 15일 발표한 ‘2025년 6월 수출입 운송비용 현황’에 다르면 해상 수출 운송비용은 미국 노선을 중심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40피트 컨테이너(2TEU) 기준 미국 서부는 전월 대비 16.6% 오른 608만7000원을 기록했고, 미국 동부는 23.3% 상승한 676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중국(2.7%), 일본(4.6%), 베트남(8.0%) 등 근거리 항로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유럽연합은 전월 대비 0.8% 하락한 379만3000원으로, 지난해 12월(596만8000원)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해상 수입 운송비용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미국 서부(248만 원, -6.4%)와 유럽연합(106만1000원, -6.6%), 베트남(115만 원, -0.2%)은 하락한 반면, 미국 동부(195만 원, +10.4%), 중국(120만6000원, +1.9%), 일본(106만4000원, +1.6%)은 상승했다.

특히 미국 동부는 2개월 연속 상승하며 물류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반면 베트남은 1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항공 수입 운임은 유럽을 제외하고 전반적인 하락세였다. 미국은 3.4% 떨어진 5074원(kg당 기준)을 기록했고, 중국은 전월 대비 21.3% 급락한 3133원을 나타냈다. 일본(1806원, -2.9%), 베트남(4422원, -0.2%)도 동반 하락했다.

반면, 유럽연합 항로는 33.3% 급등하며 5725원을 기록해 눈에 띄는 반등을 보였다.

이번 수출입 운송비 변화는 글로벌 물류 환경이 여전히 유동적임을 보여준다. 미국과 아시아 주요 노선은 물동량 증가 및 선박 수급 이슈 등으로 운임이 상승하는 반면, 유럽은 경기 둔화와 재고 조정 등의 영향으로 물류 수요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물류업계의 한 전문가는 “항로별 운임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운송 경로 다변화와 선사·포워더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