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경진대회 개최·임직원 교육 확대···“AI로 일하는 방식 근본 재정립”
경북 포항의 이차전지 산업을 이끌고 있는 에코프로가 전사적 인공지능(AI) 경영 체계 구축에 본격 나섰다. 지주사 내에 ‘AI혁신실’을 신설하고, 제조원가 절감과 연구개발(R&D) 효율화에 AI를 적극 도입하며 계열사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AI경진대회를 개최하고, AI 전문 강사를 초빙한 임직원 교육을 통해 사내 AI 마인드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에코프로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디지털전환(DT)실 기능을 확대해 ‘AI혁신실’을 신설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조직은 에코프로 그룹의 AI 전환을 총괄하는 사령탑으로, 제조·R&D·사무 등 핵심 부문에 AI 시스템을 접목해 전사적 혁신을 추진하게 된다.
회사 측은 AI 기술을 통한 자동화 및 최적화를 통해 생산설비와 공정의 지능화를 실현하고, 의사결정 효율성과 품질 제고 효과를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AI 전문기업과의 협업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AI 전환에 따른 구체적 성과 지표도 제시했다. 사무 부문에서는 생성형 AI와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AI 적용 부서 비율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제조·품질 부문에서는 AI 기반 분석 시스템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하고, R&D 부문에서는 실험 자동화 및 설계 최적화를 통해 연구 효율성을 30% 이상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작은 성공사례의 확산’ 전략에 따라 하반기에는 그룹 차원의 AI 경진대회도 열린다. 제조·개발·사무 각 부문에서 AI를 접목한 업무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우수 사례를 선정해 포상할 계획이다. AI를 일회성 기술 도입이 아닌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로 인식하겠다는 취지다.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최근 경영회의에서 “AI를 업무의 파트너로 인식하고, 전사적 AI 마인드와 프로세스를 구축해야만 어떤 외부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라며 “단기적으로는 제조원가를 낮추고, 품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AI가 경영 전반에 깊숙이 녹아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에코프로는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AI 자율 제조 국책과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오류를 예방하고, 설비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품질을 고도화하는 것이 주된 목표다. 회사는 이 과제를 통해 양극재 생산 현장에 AI 품질예측 시스템을 도입하고, 설비 제어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임직원들의 AI 역량 강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사내 홍보채널 ‘에코톡톡’을 통해 AI 전문가의 기고를 정기적으로 공유하며, AI가 단순 기술이 아닌 조직문화이자 혁신 기반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AI가 에코프로그룹에 가져올 혁신’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는 R&D 혁신, 수율 향상, 수요 예측, 고해상도 영상분석 등 AI의 다양한 가능성이 소개됐다.
또한, 가족사 임원들이 참석하는 중장기 전략 워크숍에서는 외부 AI 전문 강사를 초빙해 ‘제조AI 도입전략 및 트렌드’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최신 AI 기술 동향은 물론, AI 기반 경쟁력 확보 전략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수호 에코프로 AI혁신실 전무는 “AI 전환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기업 본연의 경쟁력을 재정립하는 변화의 시작”이라며 “AI를 통해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이끌고,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