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수소 장치 개선 ‘초강력 나노막’ 개발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7-08 18:30 게재일 2025-07-09 13면
스크랩버튼
포항공대 안지환 교수 연구팀
SOEC 성능 4배·내구성 향상
Second alt text
안지환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제공

포항공과대학교는 안지환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공정으로 강력한 접착제와 같은 나노막을 개발해 수소 생산 장치의 성능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며,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꼽았다. 그러나 태양광·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는 날씨와 시간에 따라 생산량이 들쭉날쭉해 남는 전기를 저장하거나 다른 형태로 바꿔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활용의 대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수소’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생산된 수소를 ‘그린 수소’라고 하는데,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이하 SOEC,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는 고온에서 고체 재료로 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어 다른 방식보다 훨씬 많은 수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지만 SOEC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다.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내부에서 균열이 생기거나 중요한 부품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전극’과 ‘전해질’이라는 핵심 부품이 만나는 부분이 헐거워지면서 산소가 새어 나오거나 전기가 잘 흐르지 않아 장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스퍼터 증착 공정(Sputter deposition)‘에 주목했다. 이 공정은 마치 스프레이처럼 재료를 아주 얇고 균일하게 뿌려서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두께의 막을 만드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사용해 ‘LSCF’라는 특수한 재료로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도 안되는 매우 얇은 막을 만들고 이 나노막을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 끼워 넣었다.

이 얇은 나노막은 강력한 접착제처럼 전극과 전해질을 견고하게 결합했다. SOEC는 물을 전기로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전기분해 모드’와, 수소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모드’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연료전지 모드에서는 기존 대비 3배 이상 많은 전력을 생산했고, 전기분해 모드에서는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드는 속도가 4배나 빨라졌다. 또 650℃의 높은 온도에서 100시간 이상 연속으로 작동해도 성능 저하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안 교수는 “반도체 기술을 수소 분야에 접목해 SOEC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해결한 사례”라며 “이산화탄소를 다른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전기화학 시스템, 고온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이차전지, 전기화학 촉매를 활용한 수소 생산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람들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