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악마의 맷돌과 노예의 길

등록일 2025-07-07 18:41 게재일 2025-07-08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공봉학 변호사

칼 폴라니는 ‘거대한 변환’에서, ‘시장’이 ‘인간과 자연을 파괴하는 기계’라고 진단한다. 자율적 시장경제는 위험하며, 사회적 자유가 진정한 자유이며, 이러한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가 시장을 통제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폴라니에겐 시장이란, 자연이 선물한 토지, 인간의 신성한 노동 그리고 사회적 신뢰인 화폐를 상품화하여 모조리 갈아버리는 ‘악마의 맷돌’이다. 이 거대한 제분기는 노동을 분리하여 시장의 법칙에 종속시키고, 유기적인 삶의 모든 형태를 말살하고 원자화하여, 개인주의를 파괴하여 결국은 인간과 자연을 말살하게 될 것이라 하였다.

프리드리히 하이예크는 ‘노예의 길’에서, ‘시장’이 ‘인간 사회의 질서를 형성하는 가장 정교한 자생적 체계‘라고 진단한다, 자율적 시장경제는 진정한 인간 자유의 기반이며, 시장에 대한 개입과 간섭은 전체주의로 가는 지름길이라 주장한다. 하이예크에게 시장이란, 인간의 이성이 설계하지 않은 자생적 질서이며, 시장가격은 흩어진 지식의 조화이다. 시장에 대한 인위적 개입은 파멸로 가는 길이며, 평등이나 정의를 이유로 시장에 개입하면 자유는 무너지고 노예의 길로 향할 것이라 하였다.

’시장을 통제한다는 것‘에 대하여, 폴라니는 자유의 길, 하이예크는 노예의 길이라 판단했다. 하이예크가 두려워한 ’국가의 팽창‘은 독재 권력을 낳기도 하였지만, 폴라니가 경고한 ’시장의 전면화‘는 더 넓은 영역에서 실현되기도 하였다. 지금쯤 눈치를 챘겠지만, 폴라니는 진보의, 하이예크는 보수의 경제 정책이다. 여기서 나는 두 거장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판단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악마의 맷돌에서 갈려져 나오는 위대한(?) 생산물이자 우리를 노예의 길로 인도하는 거룩한(?) 인도자에 대하여 말하고 싶은 것이다. 그 생산물이자 인도자는 ’돈‘ 이다. 우리는 갈려서 돈이 되고, 우리는 돈에 의하여 인도된다.

절대 신 ’돈‘을 숭배하는 종교가 있다. ’돈‘ 교다. 근사한 말로 포장하면 ’자본주의‘ 교다. 자본주의는 모든 종교에 탁란한 뻐꾸기다. 신앙인들이 믿고 있는 신은, 어쩌면 돈이라는 신일지도 모른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주식 시장은 매일 요동치며, 우리의 노동은 시간 단위로 팔리고 있다. 어떤 신을 믿어야 하나. 이정표 없는 거리다. 아니, 이정표는 오직 돈일지도 모른다.

악마의 맷돌은 자연과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갈아서 돈이라는 신을 창조한다. 그 신은 생각보다 전지전능하며, 은혜롭다. 신에게 바칠 재물이 신이 되었다. 우리가 창조하였으나, 이제는 우리의 신이 되었다. 구원도, 속죄도 없다. 가짜가 진짜가 되었다. 우리의 모든 아우라는 돈의 빛 속에서 흐려졌다. 이야기도 신화도 모두 사라졌다.

오늘도 우리는 돈이 활개 치는 시장으로 간다. 그곳에서 마시고, 노래하고 춤춘다. 폴라니도 하이예크도 시장 속에서, 돈 속에서 죽었다. 나 자신의 가격을 묻는 시대, 모든 것이 가격으로 환원되는 시대. 딴따라는 춤춘다. 돈 신을 어떻게 모셔야 할까? 인류 전부가 개종할 날을 기대하여 본다.

/공봉학 변호사

공봉학의 인문학 이야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