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개항 이래 첫 외국학교 수학여행단이 울릉도·독도를 방문하면서 국제교류를 다변화하면서 울릉도만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 칭다오 해랑학교 국제부 학생 및 교사 52명이 역사배움 여행 일환으로 21~23일까지 울릉도와 독도를 탐방했다.
이들의 울릉도 독도방문은 김윤배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대장의 주도적 역할로 이뤄졌다. KIOST 동해연구소의 찾아가는 해양과학교실 프로그램 일환으로 올해 이 학교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김윤배 대장이 이 학교를 방문 울릉도와 독도를 소개하면서 교장과 면담하는 과정에서 한국 역사 배움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것을 확인, 울릉도·독도 방문을 제안해 이뤄졌다.
해랑학교 사립학교로 전교생이 400여 명이며 국제부 학생이 100여 명. 국제부 학생은 중국에 체류하는 한국 국적의 자녀, 재중 동포의 자녀, 한족의 자녀 등 한국 국적과 중국 국적의 학생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한국어, 중국어, 영어 등 3개 국어가 능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윤배 대장은 이를 계기로 울릉군의 글로벌 교육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울릉군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미국 투산시 홍스테이 프로그램이 있다.
하지만, 국제 교류가 매우 제한적 환경이다. 대부분의 외부 여행 교육이 도시 체험학습이라고 해서 대도시 생활을 부러워하고 결국엔 섬을 탈출하게 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이에 김 대장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울릉도가 도시 따라 하기 교육을 벗고 울릉도만의 색깔을 찾아나가야 한다”며 “울릉도의 교육은 섬 탈출 교육이 아니라 국제교류를 통해 학생의 자긍심을 길러줘야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교류 프로그램이 독도를 알리는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하며 울릉도 학생들 자체가 독도를 상징하기 때문이라는 것.
이번에 울릉도 학생들과 친해진 해랑학교 학생들은 울릉도 학생들이 칭다오를 방문하면 홈스테이를 하자고 교사에게 제안할 정도로 해랑학교 학생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칭다오 해랑학교는 매년 싱가포르, 필리핀 등 자체 해외연수프로그램과 함께 중국 내 독립운동 유적지, 대마도 한일통신사 답사 등 다양한 자체 역사배움여행을 진행하고 있다. 울릉도가 벤치마킹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김 대장의 설명이다.
김 대장은 “울릉도서 첫 국외학교 수학여행단을 맞았는데 울릉도 학생들과 함께 함으로써 서로에게 적지않는 자극이 됐을 것”이라며 “이런 교류가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학생들의 정체성 교육과 함께 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 시민 교육을 진행하는 모습을 울릉도가 눈여겨볼 대목이다. 이것이 외부에서 울릉도를 부러워하고 학생들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며 넓게는 독도를 홍보하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김두한 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