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칸 북부를 지배하고 있던 오스트리아로서는 러시아의 발칸침략에 아연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자 영국에서 배타적 민족주의, 광신적 애국을 주창하는 징고이즘(JINGOISM)이 분위기를 타면서 러시아 타도 운동이 불길처럼 번졌다. 기세에 눌린 러시아는 영국과 프랑스가 요구하는 대로 협상 테이블에 다시 나설 수밖에 없었고, 산스테파노조약은 없었던 일이 되고 만다.
유럽 정세는 또 다시 먹구름 속에 들었다. 그리스 독립정부도 시류에 따라 요동치고 있었다. 예견했듯 초대국왕 오토가 그리스 국민 정변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뒤이어 강대국에 의해 떠밀리다시피 왕위를 이어받은 덴마크 출신의 게오르기오스 1세가 입헌군주정과 흡사한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게오르기오스 1세는 영토 확장에 눈을 돌려 대그리스주의라는 향수에 젖은 국민 신뢰를 얻는다. 1897년 국민 지지 속에 오스만터키와의 전쟁을 불렀다. 게오르기오스 1세는 아들 콘스탄티노스 1세에게 군대를 주어 출전시켰다.
그러나 의기만 충만했지 전쟁준비는 부족했다. 1897년 4월 그리스는 터키에게 만신창이가 되도록 얻어터진 후에야 패배를 인정했다. 크레타를 국제자치령으로 인정해야 했고, 영토 일부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400만 터키 파운드를 전쟁 배상금으로 물어야 했다. 그리스 본토는 온전했으니 그만하길 다행이었다.
이를 지켜보던 오스트리아가 신생강국 도이칠란트의 뒷배를 믿고 발칸반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순식간에 점령해버렸다. 이를 불안하게 지켜보던 발칸의 나라들, 즉 그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등은 1912년 힘을 합치기 위해 발칸동맹을 맺으면서 터키와 오스트리아 이 둘을 동시에 견제했다.
드디어 발칸동맹과 터키와의 한 판 승부, 1차 발칸전쟁이 벌어졌다. 처음 터키제국에 선전포고를 한 나라는 스스로 전사의 나라 몬테네그로였다. 이에 발칸동맹국이 하나 둘씩 합세하자 예상을 뒤엎다. 대제국 오스만터키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며 유럽을 놀라게 했던 것이다. 기실 터키 주력부대가 이탈리아와 아프리카에서 한 판 전투가 벌어지던 중이라 잔여 병력을 상대로 쉽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어찌되었던 터키로서는 뼈아픈 패전이었다. 이로 인해 현재 터키 국경이 된 이스탄불을 비롯해 인근지역만 남기고 500년을 호령했던 대제국은 영광의 이름만 남게 된다.
제2차 발칸전쟁은 욕심이 부른 난타전이었다. 1913년 6월 29일 불가리아는 발칸의 맹주라는 장대한 꿈을 품고 전쟁을 일으킨다. 불가리아는 기습적으로 마케도니아를 선점해 넓은 영토를 수중에 넣는데 성공했다. 불가리아와 경쟁관계에 있던 루마니아도 관망 자세에서 승리가 빤해 보이는 곳을 숟가락을 걸쳤다. 때를 놓치지 않고 그리스의 영원한 맞수로 생각했던 터키까지 발칸 동맹군에 가담했고, 전사군단 몬테네그로도 빠질세라 거들었다. 그러자 사면초가에 몰린 불가리아는 개전 두 달 만에 두 손발 다 들고 말았다. 말 그대로 엄청난 상처만 남긴 전쟁이었다. 그리스를 비롯해 세르비아 등 승전국은 다투어 전리품을 챙겼다. 덕분에 불가리아 영토만 쪼그라들었다.
그리스 게오르기오스 1세가 불가리아 비밀조직에 의해 암살당하면서 그의 아들 콘스탄티노스 1세가 왕위를 물려받았다.
때를 같이하여 1914년 6월 28일, 세르비아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출신 19세 청년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쏜 한 발의 총성이 유럽 전역을 전쟁의 광풍으로 몰아넣었다.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보스니아 사라예보에서 이 철없는 청년이 쏜 총에 희생되었다.
대세르비아주의는 보스니아를 합병함으로써 가능하지만, 점령국 오스트리아가 걸림돌이었다.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를 차지하고 있던 오스트리아로선 발칸반도를 지배의 구실로선 그야말로 이보다 더 좋을 수 없었다. ‘열아홉 살 청년에 의해 시작된 전쟁에서 그리스 역시 피해 갈 수 없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전쟁터는 응당 발칸반도였다.
그리스는 영국과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세르비아 등 연합군에 가담해 루마니아와 손잡고 불가리아를 공격해 승전국이 된다. 불가리아는 오스트리아와 도이치제국으로 줄을 잘못 선 탓에 또다시 패전국 신세로 전락하면서 발칸반도 승전국, 특히 세르비아와 루마니아에 땅덩어리를 내주어야 했다. 오스트리아도 역사에서 제국이란 깃발을 내려야 했다. 러시아 또한 볼셰비키혁명으로 공산화가 되면서 전쟁에서 발을 빼게 된다.
다행일까. 그리스는 승전국이 되면서 기세가 오르기 시작했다. 그 기세를 몰아 대그리스주의 꿈을 앞당기려 했다. 하지만 첫 번째 단추를 잘못 끼웠다. 세계대전의 포화가 채 가라앉기도 전인 1919년 그리스는 또다시 터키제국을 막무가내로 공격했다. 아무리 동네북 신세로 전락한 종이호랑이라 할지라도 제국의 에너지를 얕보았다. 1922년에 끝난 이 전쟁에서 그리스가 대패하면서 드디어 대그리스주의는 꼬리를 감추어야 했다. 능력의 한계를 절감했던 것이다. /스토리텔링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