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 초·중·고생 1.2% 학폭 피해 전국 평균보다 0.9% 낮은 것으로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4-30 15:57 게재일 2025-05-01 8면
스크랩버튼
교육부 ‘2024 2차 실태 조사’
언어폭력 49.3%로 최다
대구 초·중·고생이 응답한 학교폭력 피해 유형. /대구시교육청 제공

지난해 전국적으로 학교폭력을 당한 초·중·고생이 증가한 반면, 대구 지역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30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2차 학교폭력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3일부터 10월 22일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 중 4%, 약 21만 명(참여율 78.8%, 약 16만7000명 참여)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피해 응답률은 2.1%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대구 지역 실태조사 피해 응답률은 1.2%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국 평균인 2.1%보다 0.9% 낮은 수치다.

대구시교육청은 교육부의 조사 방침에 맞춰 지역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중 초등학교 16개교, 중학교 13개교, 고등학교 13개교 등 총 42개교 재학생 8186명 중 7506명(91.7%)에 대한 2차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이 49.3%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신체폭력 14.3%, 집단 따돌림 9.3%, 성폭력 9.3%, 사이버폭력 5.0%, 금품 갈취 5.0%, 강요 5.0%, 스토킹 2.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날 교육부의 조사 결과 전국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3.8%, 중학교 1.6%, 고등학교 0.6%로, 2023년 2차 조사에 비해 각각 0.8%p, 0.4%p, 0.2%p 증가했다.

피해유형별로 보면 언어폭력이 41.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집단따돌림(14.6%), 신체폭력(14.0%), 사이버폭력(7.6%), 성폭력(7.0%) 등의 순이었다. 

2023년 2차 조사에 비해 신체폭력(15.5%→14.0%), 스토킹(6.5%→4.8%), 금품갈취(6.1%→5.7%) 비중은 줄어든 반면, 언어 폭력(40.9%→41.0%), 집단 따돌림(12.9%→14.6%), 사이버 폭력(6.8%→7.6%), 성폭력(6.0%→7.0%) 비중은 늘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언어폭력’ 비중이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는 ‘신체폭력’,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집단 따돌림’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