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에서 영화 보는 게 최고의 오락이던 시절이 있었다. 화제를 모은 영화를 보기 위해 긴 줄의 마지막에 서는 걸 마다하지 않았고, 그래도 영화표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다가와 정가의 2~3배 가격에 “암표를 사라”고 속삭이는 이들도 흔했다.
극장에서의 데이트도 20세기 연인들에겐 즐거움이었다. 청춘남녀가 팝콘과 콜라를 나눠 먹으며 캄캄한 객석에서 은근슬쩍 서로의 손을 잡던 기억들. 둘의 손바닥에 촉촉하게 배어 있던 땀.
그런데, 시대의 변화 탓인지 극장을 찾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달 극장을 찾은 관객 수는 643만7886명. 한 해 전 같은 달의 관객 수 1169만7143명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운 45%가 줄었다.
당연지사 매출액 역시 반토막이 났고, 이를 걱정하는 극장 사업자의 한숨이 깊어졌다. ‘영화의 르네상스, 극장의 전성시대’가 끝나간다는 느낌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가속화될 전망이라는 게 영화계의 일반적인 견해다.
극장의 위기는 어디에서 연유한 것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큰 원인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괄목할 만한 약진이 아닐지.
올해 1분기만 봐도 극장에 걸린 영화 중에는 눈에 띄는 대형 히트작이 드물지만, OTT가 내놓은 ‘폭싹 속았수다’ ‘오징어게임 시즌 2’ ‘중증외상센터’ 등은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화제를 모았다.
극장이 획기적인 회생 방안을 찾지 못한다면, 이제 영화 제작과 감상 시스템의 주도권을 OTT가 쥘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영화를 극장이 아닌 집에서 보는 게 보편적인 시대가 곧 올 듯하다. 아니, 이미 왔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