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3일까지 ‘직장운동경기부 창단·운영 지원’ 대상 공모 ‘소수종목’과 ‘회생단체’ 운영지원 신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오는 5월 13일까지 직장운동경기부(이하 직장운동부) 창단과 운영 지원 대상 단체를 공모해 총 163억 원을 지원한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올해 공모에서는 ‘국민체육진흥법’상 직장 체육 진흥의 핵심 주체인 지자체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광역지자체가 담당 지역 내 직장운동부 운영단체의 신청서를 예비 검토한 후 문체부에 제출하면, 문체부가 최종 심사를 진행한다.
공공 부문(광역·기초지자체, 지방체육회,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등)과 민간 부문(일반 기업 등)으로 나눠 각각 창단지원과 운영지원으로 구분해 지원 대상 단체를 공모한다.
창단지원 대상은 지난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 사이에 직장운동부 또는 대학팀을 새로 창단 또는 창단을 완료할 예정인 단체다. 선정된 단체는 개인종목은 최대 3억원, 단체종목은 최대 5억원을 3년간 연차별로 균등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예산은 팀 훈련에 필요한 용품과 장비 구입, 국내외 대회 출전, 전지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운영지원 대상은 현재 직장운동부를 운영하는 단체 중 체육진흥투표권 비발행 종목(축구, 야구, 농구, 배구, 골프를 제외)이다. 공공 부문 예산은 시도별로 균등 배분(30%)과 차등 배분(70%) 방식을 병행 지원한다. 균등 배분은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에 같은 예산을 지원하고 차등 배분은 전국체전 성적(10%), 국제경기 메달 실적(10%), 종목 특성(50%)을 기준으로 지원한다. 운영지원비는 선수 수, 종목 특성(장비·도구·신체 종목 구분), 올림픽·아시안게임 종목 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하며 최소 1000만원에서 최대 9000만원까지 신청할 수 있다.
또 올해는 ‘소수종목’과 ‘회생단체’ 운영지원 항목을 신설했다. 소수종목 운영지원은 2024년 기준 전국 직장운동부수가 2개 이하인 종목 중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출전을 위한 국가적 전략 필요 종목이 대상이며, 총 3억 원을 2개 팀에 지원할 계획이다. 해당 종목은 루지와 서핑, 스노보드, 아이스하키, 인라인스피드, 크로스컨트리, 스포츠클라이밍 등이 있다. 회생단체 운영지원은 이미 창단되었으나 선수 또는 지도자가 없어 재정난 등으로 팀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단체 중 올해 재운영을 계획중인 단체가 대상이며, 총 2억 원을 2개 팀에 지원할 예정이다.
/김진홍기자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