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소비패턴 빅데이터 분석 의무휴업제 시행 10년 효과 미미 오프라인 → 온라인 소비 이동 규제가 지역경제 쇠퇴 조장 우려 “온라인·대형마트·전통시장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 절실”
전통시장 보호를 목적으로 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시행된 지 약 10년이 넘었지만,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대형마트 영업규제와 위기의 오프라인 유통업: 해외사례·소비패턴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 구매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오프라인 유통업을 포함한 지역경제의 쇠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경연이 연 130만 건의 소비자 구매 데이터 분석 결과,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 소비는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데이터는 분석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평일 의무휴업 도입 전인 2022년 기준의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 자료의 식료품 구매 데이터를 분석했다.
2022년 주말 식료품 구매액 분석 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일요일) 전통시장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에 비해 낮았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들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대신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면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2015년과 2022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식료품 평균 구매액 비교 결과, 전통시장에서의 구매액은 55% 감소(1370만원 → 610만원, 의무휴업일 기준)한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20배 이상 증가(350만원 → 8170만원, 평일 기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대형마트·전통시장·슈퍼마켓)에서의 2022년 식료품 구매액은 2015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소비자 구매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대형마트 판매지수는 2011년 1분기 114.2에서 2024년 4분기 92.0으로 감소했다.
반면 인터넷쇼핑 판매지수는 2011년 1분기 21.8에서 2024년 4분기 135.3으로 급증, 2020년을 기점으로 인터넷쇼핑이 대형마트 판매액을 추월했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3사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 감소하며 최근 10년간 대형마트 52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202곳 폐업 등 오프라인 유통업의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또 해외사례의 조사결과에서 일본도 1973년 소규모 소매상 보호 정책으로 대형마트 영업시간을 규제했으나, 소비자 불편과 유통업 불황으로 2000년 폐지했다.
한경연은 단순 대형마트 영업 제한은 온라인 시장 성장과 소비자 행동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단편적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규제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이 쇠퇴한다는 것이 데이터 분석결과 확인된 만큼 단순 규제방식이 아닌 디지털 기술 도입, 현대적 경영 기법 적용 등 전통시장의 실질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유민희 연구위원은 “의무휴업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