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박수철, 오래된 꿈’ 세번째 개인전… 50여 년 예술가의 여정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4-13 18:29 게재일 2025-04-14 14면
스크랩버튼
인터뷰  서양화가 박수철 화백
박수철 화백. /김훈 사진작가 제공

“그림 인생 50여 년. 세 번째 개인전인 이번 전시는 특별히 의미가 깊습니다. 시립미술관에서 기획했고 작가 정신을 조명하고자 한 점, 그리고 작품 선정 등을 학예연구사가 주도했다는 점에서 이전과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포항 미술 2세대 작가인 서양화가 박수철(75) 화백은 포항시립미술관의 올해 첫 기획전에 첫 번째 개인전으로 초대된 소감을 이렇게 전했다.

지난 1월 21일 개막해 오는 5월 11일까지 포항시립미술관 3, 4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박수철, 오래된 꿈’ 전시는 오랜 세월 화폭에 인생을 담아온 박수철 화백의 예술세계를 집중 조명한다. 1980년대부터 2024년까지의 서정적인 풍경화와 정물 등 다양한 회화 작품과 아카이브 50여 점이 전시되고 있다.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며 묵묵히 예술가의 삶을 걸어온 작가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그의 오랜 꿈이었던 그림이 지닌 의미를 되새겨 보는 자리로서 깊은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5월 11일까지 포항시립미술관서

1980년대부터 작업 풍경·정물화

아카이브 50여점 등 다양한 전시

태양빛 속 계절 담긴 회화작품들

그림은 내 삶의 전부… 보람된 일

-독학으로 그림을 시작했는데.

△대학에 떨어진 후 군대에 입대해 몰래 일기를 쓰며 부대 막사와 형이상학적인 선, 면, 점을 그려보았다. 이후 그 당시에 포항에서는 처음으로 미술학원을 했던 강문길 선생의 미술학원에 찾아가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지만, 정식 교육보다는 미술대학생들의 그림을 어깨너머로 보며 익혔다.

-스승 오지호(1905∼1982) 화백과의 인연은.

△나의 화가 생활을 지원해준 형의 제안으로 생계를 위해 부산의 ‘이화당 표구사’에서 표구를 배우던 중, 오재봉 선생의 조카로부터 오지호 화백을 소개받았다. 오 화백의 작품을 좋아했던 나는 그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냈고, 답장과 함께 저서를 받았다. 그 일을 계기로 매년 오지호 화백을 찾아가 그림을 보여주며 조언을 들었고, 오 화백은 나에게 “정직한 청년이 되라”는 가르침을 주었다. 처음에는 이 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5년 후 그림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삶의 정직함과 순수함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오지호 화백은 나에게 그림의 본질적인 힘을 깨닫게 해주었고, 이는 예술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갈뫼화실’을 열고 ‘포항일요화가회’ 회원으로 활동했는데.

△부산에서 표구를 배우면서 그림을 그리다가, 포항에 개인 작업실을 열기로 결심했다. 포항의 옛 지명인 ‘갈뫼’에서 따온 ‘갈뫼화실’이라는 이름으로 작업실을 개설했다. 작업실을 열고 자연스럽게 그림 교습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오지호 화백의 셋째 아들 되시는 오승윤(당시 전남대 미술대학 학과장) 씨를 만나 ‘포항일요화가회’를 만들자는 제안을 받았다. 약 10여 명의 회원들과 함께 아마추어 미술 서클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화우회’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나, 전국 ‘일요화가회’의 존재를 알게 되어 ‘포항일요화가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활동을 이어갔다. 이 단체는 그림을 통해 동료애를 나누며, 지역 사회에서 예술적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다.

오는 5월 11일까지 포항시립미술관 3, 4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서양화가 박수철 화백의 ‘박수철, 오래된 꿈’전 전경.  /포항시립미술관 제공
오는 5월 11일까지 포항시립미술관 3, 4 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는 서양화가 박수철 화백의 ‘박수철, 오래된 꿈’전 전경. /포항시립미술관 제공

-박수철의 작업관은.

△나는 주로 내 생활 주변에 있는 걸 그린다. 내 눈이 멈추는 곳. 내 눈이 머물 수 있는 공간에 있는 것이 가장 친숙하다는 얘기다. 그리고 나하고 호흡을 같이했던 것들이기 때문에 가장 애정이 있는 것이기도 하다. ‘고구마를 그리고 싶다’고 한다면, 내가 그리고자 하는 대상의 힘이 내 몸에 있을 때 작업을 하려고 한다. 작업을 할 때는 작업의 본질을 그릴 수 있어야지, 껍질을 그리면 그건 의미가 없다. 그리고 나는 작업을 시즌별로 한다. 내 몸이 자연의 일부인데, 지금 내 몸이 겨울에 있는데 봄을 그린다고 하면 봄의 색깔이 안 나온다. 내 몸이 겨울이면 겨울의 색깔이 나올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나는 철저하게 태양광 속에서 그린다. 전기는 가급적이면 켜지 않는다. 눈의 색조가 다르고 색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아침에 와서 보면 다르고, 점심때, 저녁때도 다 다르다.

-작품에 철길, 수도산, 구룡포 구만, 동빈내항이 많이 등장한다.

△철길은 어린 시절부터 많은 추억이 깃든 곳으로, 친구들과 새벽 등산을 하거나 누나가 시집가는 모습을 지켜본 장소다. 또한, 고등학교 시절에는 철길을 따라 학교에 다녔고, 결혼 후에는 아이들과 함께 자전거를 타고 산책하던 길이기도 하다. 구만(포항 구룡포 구만리)은 포항에서 가장 포항다운 곳으로서 바람이 세차서 나무가 자라기 힘든 환경이다. 내가 정신적으로 의식이 혼미해지거나 이럴 때 그 황량한 구만 벌판은 짙푸른 바다를 보면서 내 영혼을 일깨우곤 했던 그런 곳이었다. 동빈내항은 어린 시절부터 놀던 곳으로서, 얼음을 주워 먹거나 헤엄쳐서 송도로 건너가곤 했던 추억이 있다. 호미곶 포항의 경계선을 따라서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경계선을 따라서 계속 걷곤 했던 그런 지역들이 이제 남다른 의미가 있는 곳들이다.

-가장 소중한 그림은.

△가족이다. 어떤 면에서는 가족은 항상 나한테는 무거운 짐이고 십자가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가족을 부양하는 것이 무거운 짐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가족은 나를 아버지의 자리로, 또한 아내의 남편 자리로 놓아주었다. 그래서 가족은 나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그림이다. 그렇게 나는 규정한다.

-십자가 그림이 많은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다.

△예술가로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자괴감에 시달렸던 나는 힘든 시기에 하나님을 다시 찾게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교회에 다녔지만, 성인이 되어 힘든 과정을 겪으면서 새벽 기도를 통해 마음의 위안과 소망을 얻었다. 십자가는 예수님의 상징으로,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깊은 신앙심과 경건함을 담아내야 했다. 십자가를 그릴 때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긴장 속에서 작업에 임했다. 십자가 작업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나의 신앙과 고통을 풀어내는 일기이자 도구였다.

-시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

△그림은 그 사람의 삶이고 생각이다. 생각하는 것이 삶의 방향이다. 음악, 시, 문학 다 같은 맥락 아닌가. 그림을 통해 삶에서 힘들고 어려웠던 일들을 녹여내는 정화작업이랄 수 있다. 어려운 시기다. 그림 감상하러 가기 어렵다. 이번 전시는 무료인 만큼 많이들 오셔서 마음 풀어내시고 살아가는 이야기, 나의 생각을 공유하셨으면 좋겠다.

-앞으로의 계획은.

△내가 일기를 쓰면 그림은 나의 덫과도 같다고 쓴다. 그림이라는 덫에 걸려서 지금까지 힘들게 살아왔기도 했지만, 더 보람되게도 살고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그게 참 나에게 덫이었지만 그림은 내 삶의 전부이고, 나의 노래이고, 내 영혼의 일부다. 농부가 밭을 떠나면 농부가 아니듯 나도 언제나 이젤 앞에 있을 것이다. 내 자리에서 움직이고 생각하고 많은 것을 이야기 하겠다. 산다는 것 자체가 매일 그날그날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림 제작에 충실히 하는 것이 나의 계획이다.

※ 박수철 화백은

6·25 전쟁 중 울산 신답에서 태어나 포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박수철의 작업 태도는 대상의 본질과 교감하며 색채와 형태에 내면의 의식을 투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계절의 흐름에 따라 작품을 그리며, 해당 계절에 완성하지 못한 작품은 다음 해 같은 계절에 다시 그리는 독특한 방식을 고수한다. 이런 태도는 세상의 풍파 속에서도 자신만의 길을 묵묵히 걸어온 예술가로서의 신념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포항의 아름다움과 삶의 진솔함을 담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 예술적 삶이 하나가 되는 구도의 시간과 예술적 간증을 담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