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대장암팀이 고위험 2기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통한 생존율 향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대장암팀에는 배성욱·백성규 교수가 참여했으며, 국내 14개 대학병원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 연구는 유럽종양학회지에 게재됐다.
이날 계명대 동산병원에 따르면, 연구진은 지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1801명의 2기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항암치료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세부수체 불안정성 상태(이하 MSI)’와 무관하게 고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들에게 보조항암치료가 전체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험 요인이 있는 MSI-고환자 그룹에서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시행한 경우, 전체 생존율이 72.2%에서 97.8%로 증가했으며, 무병 생존율 또한 67.1%에서 88.9%로 상승했다. 또 MSI-저/미세위성 안정성(MSS) 그룹에서도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시행 시 전체 생존율은 86.9%에서 95.6%로, 무병 생존율은 76.7%에서 90.4%로 개선됐다.
배성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2기 대장암 환자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에게 보조항암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종양의 MSI 상태와 무관하게 고위험 요인이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