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 한 표 차로 떨어졌어요!”
시외버스 안에서 다짜고짜로 받은 손전화 말이다. 이달 초등학교 2학년이 된 큰 손자의 전화였다. ‘한 표’라는 말로 반장선거에서 낙선했음을 알아듣고, 그래도 2등 했으니 잘했다고 칭찬해주었다.
며칠 뒤, 집에 온 손주 녀석에게 반장선거 결과를 물어보았다. 같은 반 학생 28명 중 반장선거에 나온 학생이 10명이고, 1등이 10표, 2등인 손자가 9표였다고 했다. 속으로 손주 녀석이 대견해 보였다. 남들 앞에 나서기 부끄러워하는 것 같았는데, 그렇지 않았나 보다. 같은 반 학생 모두 선거 결과를 받아들인 건 물론이다.
이 반장선거 결과를 따져보면, 3등이 2표, 나머지는 7명은 1표가 된다. 그러니까 득표율은 반장으로 뽑힌 1위 아이가 35.7%, 2위 손자는 32.1%, 3위 아이가 7.1%, 나머지 출마 아이 7명은 각 3.6%다. 득표율 계산 결과를 생각해본다. 초등학교 2학년 손자 녀석의 반 아이들의 반장선거가, 이상적인 민주주의의 선거 결과를 냈다는 마음이 들었다.
대통령과 차점자의 지지율 차가 적으면, 여·야가 서로 무시할 수 없으니 대화와 타협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의회도 마찬가지다. 여·야 의석 비율 차가 크지 않다면 여당은 야당을 무시할 수 없고, 야당도 여당과 대화와 타협을 안 할 수 없다. 의석 차가 적으니 대화와 토론, 타협의 길로 가야 하고 이럴 때 국민과 국가를 위한 정책이 나오기 마련일 터다.
한국의 제22대 국회는 여당 108석(36.0%), 1야당 175석(58.3%), 2야당 12석(4.0%), 군소 3개 정당 도합 5석(1.7%)으로 구성되었다. 1야당이 과반수 이상이다. 이에, 야당 폭주가 지나쳐 ‘의회 독재’란 말이 나온다. 현 정부 출범 이후 2년 10개월 동안, 1야당 주도로 30회의 공직자 탄핵소추 발의를 한 사실만 봐도 의회 독재가 분명하다.
한데, 국민의 절반 이상이 한국에 부정선거가 있다고 알게 되었다는 보도다. 부정선거 세력은 결국, 영구집권으로 자유 민주주의 체제 전복을 획책할 것이다. 큰 비극이다. 지난 5년 가까이 한국의 부정선거를 선관위 발표 선거 데이터들을 통계학 대수의 법칙을 적용 분석, 추적한 G 박사는 지난 1월 28일 22대 총선 분석 결과를 종합 발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여당의 진짜 의석수는 최대 57석이 늘어 168석(56.0%)이라 한다. 그렇다면, 1야당은 118석((39.3%)이다. 국회가 G 박사의 연구 결과대로 구성된다면, 야당의 의회 독재는 아예 불가능할 일이다.
우리 사회가 선거에 컴퓨터와 전자개표기를 쓰지 않고 초등학교 반장선거처럼 수작업으로만 한다면, 부정선거 시비는 없어질 것이다. 선관위는 개표 정확성과 시간 단축을 위해 전산 개표 시스템을 쓴다고 하리라. 선거는 공명성이 생명이다. 대만이 수작업만으로 선거 개표를 해도 8시간이면 끝난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가 기필코 벤치마킹해야 할 사안이다.
나라의 선거 개표제도를 초등학교 반장선거같이 ‘수개표’로 바꾸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