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에는 헌법재판소가 있는 동네에 강의하러 간다. 이번 학기에는 ‘세속 윤리와 하늘 도리의 조화, 중용’을 읽고 있다. ‘중용’이 고전 반열에 오른 지 어림잡아 2천 년쯤 되니 매시간 뜻깊은 문장을 만나지만 지난주 수업에서는 시국과 맞물려 특별히 더 뜻깊은 내용이 나왔다. 바로 6장에 이런 말이 나온다.
‘공자가 말하셨다. 순임금은 아마도 크게 지혜로운 사람일 것이다.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여 가까이에 있는 사람의 말 살피기를 좋아했고, 나쁜 말은 덮어서 힘을 못 쓰게 하고 선한 말은 드러내어 그 양쪽 끝을 잡아 그 가운데 말을 백성에게 사용했으니, 그것이 곧 순임금이 된 이유이다.’ 이 문장이 인상 깊은 이유는 순임금의 행동 때문이다. 그는 독단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반드시 주위 사람에게 묻고 그 대답을 잘 살펴서 좋은 말만 채택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순의 한자어 舜은 ‘충실하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런데 뒤이어 나오는 ‘양쪽 끝을 잡아 그 가운데 말을 정책으로 삼는다’는 대목이 더 중요하다. 많은 해설서에서는 양쪽 끝을 선과 악, 또는 적절과 부적절로 풀고 그 가운데를 중간이라고 한다. 그러나 ‘가운데’라는 것은 가장 적절한 최선의 기준을 말하는 것인데 선과 악의 중간이라고 하면 말이 안 된다. 그저 적당히 타협하라는 것이니 양쪽에서 돌멩이가 날아올 것이다. 그래서 나는 과와 불급의 중간으로 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70세는 넘어 보이는 학습자가 질문한다. ‘앞에서 이미 선한 말을 드러낸다고 했으니, 여기서 양 끝은 선 중의 양 끝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어떻게 선에 양 끝이 있을 수 있나요?’ ‘선한 방향은 같지만 실천 방법에서는 급진적이거나 온건하거나 하는 식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까요.’ ‘아, 그럴 수 있겠습니다.’ 같은 방향을 추구하면서도 세부 노선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갈등하고 반목하며 지리멸렬하게 갈라지는 일들이 많은데, 그때 이런 경구를 참고했더라면 좋았겠다는 깨달음이 퍼뜩 떠올랐다.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사회이지만 정치인들이 얼마나 국민의 말을 귀 기울여 듣는지는 미지수다. 우리 동네 국회의원만 해도 같은 당에서도 심하다고 할 만큼 심각한 거짓 주장을 연일 내고 있다. 이렇게 소수의 권력자가 자신들의 이익을 영구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불법도 서슴지 않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더 큰 문제는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 100일이 넘도록 헌재에서 탄핵소추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아 많은 국민이 불안에 떨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주말마다 집회가 열리니 그 고단함이 이루 말할 것이 없고, 심지어 지인의 친구는 정신과 치료까지 받는다고 한다. 판결 이후 양분된 국민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심사숙고일지는 모르겠으나, 장고 끝에 악수 둘까 두렵다. 나쁜 말은 빨리 덮어서 힘을 못 쓰게 하는 결단이 필요하다. 제주도 말에 ‘속았다’는 ‘수고했다’는 뜻이라고 한다. 나라의 평화를 위해 국민이 얼마나 더 속아야 하는가? 강의실 안 토론이 일상에서 실현될 날을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