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美, 소고기 수입규제 완화 압박… 경북 농가 ‘빨간불’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3-13 18:29 게재일 2025-03-14 6면
스크랩버튼
한국 수입 소고기 56.8% 미국산<br/>2008년 이후 수입액 1038.1% ↑<br/>경북, 전국 최대 한우사육 21.6%<br/>전국 10대 산지 4곳 등 도내 집중<br/>축산농가 통상압력 직격탄 우려<br/>제품 개발·새 유통경로 개척 필요
경북의 한우축산농가를 위해 새로운 식품화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트럼프의 통상압력이 이제 경북의 한우 축산 농가를 정조준하고 있다.

전미소고기협회(NCBA)가 11일(현지시간)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30개월 연령 제한이 한국에서 민감한 이슈라는 것을 알지만 무시해서는 안 되는 이슈다”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미국 업계에서도 민감한 사안임을 인식하고 있듯 생후 30개월 미만만 수입하는 것은 광우병 우려로 한미 양국이 오랜 협상 끝에 2008년에 합의했기 때문이다. 2024년 우리나라의 소고기 수입총액은 39억5069만달러, 그중 미국산은 22억4288만달러로 소고기(MTI분류 기준) 수입액의 56.8%를 차지한다. 미국산 수입물량은 23만1152t이며 소고기만 보면 대미 무역수지는 거의 전액 적자다.

지난해 미국산 소고기 수입액은 2008년 대비 1038.1%가, 물량으로는 612.4%가 늘었고, 10년전(2014년)과 비교해도 수입액은 193.4%, 중량으로는 107.1%가 늘어났다. 그만큼 수입단가도 많이 올랐다는 이야기다.

경북지역은 국내 최대 한우산지다. 한우사육두수 기준으로 전국 10대 주산지 가운데 상주, 경주, 구미, 안동 4개 지역은 각각 2, 4, 6, 7위, 20대 주산지까지 확장하면 14, 15, 16위를 나란히 영주, 예천, 의성이 차지하고 있다.

13일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2024년4분기)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별 한육우 사육마리수는 347만3763두, 경북이 74만9556두로 이는 전국 한우사육의 21.6%에 해당한다.

만약 이 통상압력대로 진행될 경우 가장 직격탄을 맞을 곳은 경북이다. 단순히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광우병의 위험이 있는지 여부는 사실 수입제품에 철저하게 표시만 한다면 소비자들이 선택할 문제다.

하지만 절대적인 소고기 소비와 유통면에서 본다면 국내 최대의 한우생산지 경북의 축산농가들에는 가장 직접적인 위험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축산업계의 한 전문가는 “현재 미국산 소고기 수입으로 적자가 누적되는 것도 문제”라며 “경북도는 지금부터라도 단순 구이용, 요리용 등으로만 출하되는 한우산업의 구조에서 벗어나 지역산 한우를 2차, 3차 가공한 고부가가치제품으로 만들어 수출은 물론 다른 방식의 소비, 유통경로를 개척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