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한 봄바람이 도심을 감싸는 3월을 앞두며, 시민들은 어떤 이동 방식을 선호하게 될지 궁금하다. 최근 ‘활동적 이동(active travel)’이라는 용어가 이슈가 되고 있는데, 자동차나 대중교통처럼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걷기, 자전거 타기, 스케이트보드 등 신체 활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단순히 목적지에 도달하는 수단을 넘어서 건강증진, 스트레스 해소, 대기오염 완화 및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효과를 보인다.
대구시는 오랜 기간 자동차 중심의 문화와 폭염, 한파 같은 기후 제약으로 ‘활동적 이동’이 연중 활성화되기 어려웠지만, 이제 시민의 건강과 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해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0년 기준, 대구광역시의 관리권한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약 1,160만 톤이며, 이 중 지역내에서 배출되는 직접 배출량은 543만 톤으로 집계된다. 특히, 수송 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약 379만 톤으로 직접 배출량의 70%나 되어 자동차 의존도가 매우 높은 현실을 보여준다. 이는 대구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동 수단의 전환이 절실함을 시사한다.
최근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9)에서도 ‘활동적 이동’의 확대가 온실가스 감축과 시민 건강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걷기와 자전거 같은 친환경 이동수단을 적극 도입하면, 대기질 개선과 함께 에너지 소비를 줄여 도시 전체의 환경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 부산, 인천 등 다른 대도시들은 이미 자전거 전용도로, 보행자 우선 인프라, 대중교통 연계 시스템을 통해 ‘활동적 이동’이라는 친환경 이동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해외에서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호주 멜버른은 자전거와 도보를 일상화하여 도시 내 교통 혼잡과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인 모범 도시로 손꼽힌다. 이들 도시는 인구 규모나 도시 특성이 대구와 유사하면서도,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 인프라를 구축해 ‘활동적 이동’ 생활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대구도 이러한 우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인프라와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기존의 자동차 중심 이동 체계를 ‘활동적 이동’으로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대구시는 기후변화와 자동차 중심 문화라는 기존의 제약을 극복하고,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활동적 이동’을 전도시 규모로 확산시켜야 한다. 도심 내 자전거 도로와 보행자 전용 구역, 대중교통 연계 인프라를 강화하고, 시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시민 건강 증진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국, 2050년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글로벌 도시로 나아가는 대구의 미래는 ‘활동적 이동’으로 전환하는 우리 모두의 작은 발걸음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활동적 이동’의 활성화에 시민 모두가 주인공이 되어, 지속가능한 대구를 함께 만들어 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