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폭력은 그저 청소년기의 통과의례가 아니다. 드라마 ‘소년 시대’ 마지막 주인공의 대사에도 나오듯이, 맞는 사람이 느끼는 공포는 시간이 지난다고 잊혀지는 일도 아니거니와 피해자의 인격 전체를 부정당하는 일이다. 무엇보다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나 황석영의 ‘아우를 위하여’ 같은 작품에서 학교 폭력을 소재로 사용된 데서 알 수 있듯이, 학원은 사회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두 작품은 학교 폭력을 군사 독재에 비유했다. 그래서 소설이나 영화 같은 작품에서 학원 폭력이 해결되는 과정은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은유가 되기도 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보다 17년 전에 나온 ‘아우를 위하여’는 화자 김수남은 군대 가는 동생에게 편지를 보내는데, 그 안에는 자기가 어렸을 때 겪은 학교 폭력 이야기가 들어 있다. 수남은 피난지에서 교생 실습 온 병아리 여선생님에게서 나쁜 짓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을 받고 반에서 군림하던 이영래를 굴복시킨다. 이영래가 아이들의 항의 몇 마디로 너무 쉽게 몰락하여 감흥은 크지 않지만, 폭력에 맞서는 아이들의 용기가 돋보인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학교 폭력 주동자 엄석대의 2인자 노릇을 하던 한병태가 어른이 되어 엄석대를 그리워하는 모습으로 끝나서 뒷맛이 씁쓸한 작품이다.
‘소년 시대’ 역시 주인공이 학교 폭력 주동자 정경태에게 처참하게 맞다가 결국 물리치는 이야기다. 처음에는 폭력 장면이 보기 싫었지만 어떻게 결말이 나나 궁금해져서 보게되었다. 예상대로 해피엔딩이지만, 결말에 이르는 과정은 이전의 학원물과 확실히 차별되는 부분이 있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서 엄석대를 몰락시키는 사람은 6학년 담임선생님이었고, ‘아우를 위하여’에서는 김수남의 뒤에 병아리 선생님의 가르침이 있었다. 그러나 ‘소년 시대’의 폭력 주범 정경태는 이영래나 엄석대와는 급이 다르고, 피해자 장병태에게는 담임선생님이나 병아리 선생님도 없었다. 장병태에게는 여자 친구의 응원만 있을 뿐 그는 오로지 자신의 꾀와 힘으로 정경태를 물리친다. 이것은 확실히 앞의 두 소설보다 진보한 방법이다. 찰진 사투리나 복고풍의 ost 등도 시청자의 시선을 끄는 데 한몫 했다고 하지만 정병태의 이런 주체적인 활약이 드라마의 인기를 견인했다.
허구적 작품에 나오는 낙관적 결말이 현실의 희망이 되기는 어렵다. 이제 현실의 악은 교묘해져서 정경태처럼 직접 물리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도 않는다. 심지어는 물리력을 행사하고도 발뺌하기 일쑤다. 힘 있는 고위 공직자가 세금을 펑펑 써도, 가족이 뇌물을 받거나 불법을 저질러도, 전세 사기범이 거리를 활보해도, 주가 조작으로 피해가 극심해도, 이런 악을 한두 사람의 힘으로 응징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헌법재판소에서 교묘한 논리와 궤변으로 아무리 핍박해도 당당하게 오롯이 맞서는 증인들을 보면 희망이 있음을 믿게 된다. 한 명의 장병태도 충분히 의미 있지만, 한 명이 두 명 되고 두 명이 열 명 되고 열 명이 백 명 되는 희망이 매일 실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