춥지 않은 소한(小寒)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大寒) 없다 했던가. 한 해의 마지막 절기인 대한도 지구온난화에 밀려 북풍의 혀를 날름거리던 동장군이 여지없이 맥을 못 추고 있다지만, 동토의 비탈엔 아직 잔설이 꼿꼿하게 서려 있고 얼어붙은 강줄기는 수시로 얼음장을 쩌렁쩌렁 울리게 하고 있다. 그다지 강추위가 아닌데도 시국은 온갖 기현상(?)으로 볼썽사납게 얼어붙고 민심의 파고는 난파선을 집어삼킬 듯 격하게 요동치고 있으니, 설 대목의 경기와 민생은 걷잡을 수 없이 팍팍해지며 힘겨움을 더하고 있다.
그래도 ‘얼음장 밑에서도/고기는 헤엄을 치고/눈보라 속에서도 매화는/꽃망울을 튼다//절망 속에서도/삶의 끈기는 희망을 찾고/사막의 고통 속에서도/인간은 오아시스의 그늘을 찾는다’(문병란의 시 ‘희망가’중)고 했던가. 그래서 사람들은 여전히 추위 속에서도 자전거 페달을 밟으며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난전에서 쪼그리고 앉아 시금치 묶음을 다듬으며 누군가 사 갈 것이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무덤덤하고 별것 아닌 것 같은 일상이지만, 누군가가 길거리의 휴지를 줍고 따스한 인정으로 이웃에게 온정을 베풀어주는 사람들이 있기에 험난한 세상이 조금씩 밝아지고 따스해지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일까? 영하의 날씨에도 불구하고, 몇몇 사람들은 삼삼오오 팀을 이뤄 해안가에 밀려나온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거나, 장애인 복지시설을 찾아 정원수의 전정작업을 능숙하게 수행하고, 경로당 시설을 방문하여 창문 방충망을 교체해주는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부품을 직접 조립하여 완성된 컴퓨터를 취약 가정의 학생들에게 기증하고, 새해를 맞아 연하장이나 붓글씨로 새해 소망을 적어 나누어 주는 등의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은 포스코 포항제철소 재능봉사단이 연초부터 펼치는 ‘맞춤형 봉사활동’의 일부이다. 이는 임직원들이 가진 다양한 재능과 특기, 기술을 활용하여 소외되거나 취약한 지역사회 에 도움을 주고 사랑을 나누는 공익적인 사회봉사 프로그램이다. 즉, 포스코 임직원들이 급여에서 십시일반으로 모은 기금과 포스코1%나눔재단의 출연금을 경북공동모금회에 전액기부 후 포항시자원봉사센터에서 배정된 예산에 따라 45개 재능봉사단이 지역사회를 위해 저마다 특색 있고 다양하고 유익한 활동을 펼치는 선순환 봉사활동인 셈이다.
‘스스로/스스로의 생명을 키워/그 생명을 다하기 위하여/빛 있는 곳으로 가지를 늘여/잎을 펴고/빛을 모아 꽃을 피우듯이//추운 이 겨울날/나는 나의 빛을 찾아 모아/스스로의 생명을 덥히고/그 생명을 늘여/환한 내일을 열어 가리’ - 조병화 ‘난(蘭)’전문
어쩌면 추운 겨울에도 멈추지 않고 꾸준히 자원봉사의 꽃을 피워가는 포스코 봉사단원들의 따스한 손길은, 한겨울에도 묵묵히 어려움을 견디며 빛과 희망을 찾아 향기 짙은 꽃을 피워가는 난을 닮았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주말이나 휴일을 반납하며 스스로 한결같이 활동에 임하는 봉사자들의 얼굴에 보람의 꽃이 피어나듯이, 수혜자의 얼굴에는 만족과 기쁨의 웃음꽃이 청초한 난꽃 마냥 환하게 피어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