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휘어진 가지·두터운 줄기… 오랜 세월의 흔적을 품다

등록일 2025-01-15 18:29 게재일 2025-01-16 14면
스크랩버튼
(61) 의성 월소리 소나무 노거수
월소리 마을 입구에 마을 수호신처럼 늠름하게 서 있는 소나무.

을사년 새해 벽두부터 뱀은 꼬리를 흔들며 머리를 치켜들고 금방이라도 덤벼들 듯이 독을 뿜고 있다.

지난 연말에도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더니 그 여운이 가시기도 전에 권력의 칼날은 숲은 아랑곳하지 않고 산을 지키는 못난 나무만 찍어내려 하고 있다. 수학 문제를 공식에 따라 풀다 보면 답이 저절로 나오는데, 답부터 정해놓고 공식에 맞추려 한다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 중기 월소리에 정착한 평산 신씨

마을 입구에 심어 놓은 소나무 한그루

수호신처럼 우뚝 선 늠름한 자태 ‘장관’

수령 400년·키 11m·앉은자리 폭 17m

사방으로 뻗은 가지 아래서 운동·쉼 등

주민 단합·공동체 정신 계승 역할 톡톡

옳고 그름을 떠나서 먼저 사회 불안부터 잠재우기 위해 국내외를 둘러보고 주변의 좌우를 살피며 나라와 국민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으면 될 것이 아닌가 싶다. 복잡하게 실타래처럼 얽히고설킨 어려운 국란을 우리 모두 잘 극복하리라 믿으며 다시 보고 싶은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 693번지에 살고 있는 소나무 노거수를 찾아 나섰다.

월소리 마을 입구에 마을 수호신처럼 늠름하게 서 있는 소나무를 보니 이 난국도 숱하게 세월을 이겨낸 소나무처럼 무난히 극복할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다. 반송의 수형으로 반듯하게 자라고 있는 것으로 보아 누군가 심은 것으로 보였다.

마을 어른에게 물어 본 결과 소나무는 조선 중기 광해군(1608~1623) 재위 때 평산 신씨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심었다고 했다.

그분은 무슨 마음으로 소나무를 기념식수로 심었을까? 그것도 들판을 지나 마을 입구에 심었을까? 몇 년생의 소나무를 심었을까? 이런저런 의문을 가지면서 우람한 소나무에 경외심으로 가만히 다가가서 살며시 안아 보았다. 평산 신씨 할아버지의 따뜻한 마음과 함께 의문은 풀렸다.

곡선 가지
곡선 가지

소나무는 당산나무로 마을 주민들로부터 제사를 받으며 또한 기념물로 보호를 받고 있다. 마을 주민 평산 신씨의 후손들은 마을을 드나들면서 마을 입구에 우뚝 서 있는 늠름하고 우람한 늘 소나무를 만나게 될 것이다. 그때마다 조상의 할아버지를 생각하고 그 마음을 헤아려 볼 것이다. 그리고 보면 그분은 뭉치고 단합하는 마을의 공동체 정신의 함양과 조상을 기리고 섬기는 효 사상을 은연중에 심어주는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은 마음에서 소나무를 심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고 보며 그분은 성공한 셈이다.

소나무와 함께 공적비가 하나 세워져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나무를 심은 사람의 공적비가 아니고 기념물로 지정받는데 공이 큰 마을 출신 사람의 공적비였다.

“공적비 신현수(申鉉守) 지정일 1994년 6월 8일. 상기인은 월소리 소나무를 문화재 기념물로 지정받는 데 그 공로가 다대함으로 그 뜻을 기리고자 주민의 정성을 모아 여기 영원불멸의 비를 세우다. 2006년 4월 월소리 주민 일동.”

공덕비
공덕비

이런 행위가 바로 마을을 하나로 단합하는 공동체 정신의 발로이다. 또한 마을 주민이 얼마나 이 나무를 사랑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좀 더 높은 품격의 나무로 올려 주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아니었을까. 공적비의 주인공은 고향을 떠났지만, 그의 마음은 늘 고향의 소나무와 함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이곳 월소리 출신으로 감사원에서 청렴한 공직자로 그 임무를 수행한 밑바탕에는 늘 푸른 소나무의 곧은 절개, 청렴의 이미지가 한 몫 하지 않았나 싶다. 주민들이 다시 한 번 뭉쳐서 천연기념물 반열에 올려놓으면 어떨까 싶다. 문화적, 생태적 가치로 보아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보여진다.

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소나무가 있는 신보 마을에 다른 여타 자연부락 마을보다 인물이 많이 난다며 자랑했다. 그렇다. 마을을 개척하면서 기념식수로 심은 소나무는 오랜 시간 자라면서 마을 주민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쳤을 것이다. 생태적, 문화적, 심리적, 경제적은 물론이고 마을의 공동체 정신과 조상을 기리는 효 사상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마을 입구에 자라는 소나무는 오가는 사람들의 눈에 띄어 소나무처럼 닮아가지 않았을까 싶다. 휘어진 가지와 두터운 줄기는 오랜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마음속으로 이 소나무를 ‘조상의 나무’라 불렀을 것이다. 모르면 몰라도 나무를 심은 평산 신씨 조상은 마을의 번영과 자손들의 안녕을 기원하며 소나무를 선택하여 마을 입구에 기념식수를 했을 것이다.

마을의 품격을 높여주는 소나무 노거수는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있어 나무 아래에 넓은 그늘은 주민들의 쉼터로 이용하고 있다.

나이가 400살, 키 11m, 가슴높이 둘레가 3.2m, 그 앉은 자리 폭은 17m이란다. 소나무 가지가 땅에 닿을 정도로 쳐져 우산 모형을 하고 있다. 나무 아래에는 체육시설을 설치하여 주민들은 시간 나는 대로 운동을 하면서 건강을 다지고 있다.

오늘도 마을의 88세 어른께서 나무 아래 벤치에 앉아 나를 보더니 나무에 대한 고마움을 이야기해 주었다.

나무 아래에 앉아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고 말을 건네는 것만으로도 좋다고 했다. 옛날과 다르게 사람이 뜸한 마을에서는 사람 만나기가 그리 쉬운 일도 아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소나무 노거수가 있으니, 그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출향 인사들이 고향을 방문하면서 나무 아래 쉬고 있는 어른에게 용돈까지 건네주니 얼마나 좋은가. 마을 어귀에 있는 노거수는 그냥 쉼터가 아니라 사람을 만나는 만남의 장소, 요즘 도시의 카페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솔씨 발아
솔씨 발아

소나무는 마을 공동체의 유대를 상징하는 중심축처럼 보인다.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두터운 줄기는 마치 마을을 지켜온 세대들의 역사와 연대를 나타내는 듯하다. 네 갈래로 갈라진 가지는 함께 나누고 협력하는 공동체의 조화로움을 상징하며, 푸르게 뻗은 나뭇잎은 미래 세대의 번영을 암시한다. 나무를 심은 조상의 손길은 후손들에게 자연을 아끼고 존중하는 마음과 효의 정신을 전하는 듯하다. 마을의 중심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키며 조상의 은덕과 희생을 기리고, 세대 간의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존재로 느껴진다.

후손들은 어린 시절에 소나무 아래에서 뛰놀며 자랐을 것이고 친구들과 웃고, 잎 사이로 내려오는 햇살을 느끼며 마음의 평온을 찾곤 했을 것이다. 소나무의 존재는 마을 사람들에게 단순한 나무 그 이상의 의미를 지녔을 것이다. 나무는 후손에게 조상의 가르침과 정체성을 전하는 살아있는 교과서이다.

세월이 흘러 마을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 후손도 친구는 만날 수 없어도 소나무는 마주할 것이다. 나무는 여전히 그 자리에 서 있을 것이고 잎은 더 짙어졌고, 가지는 더 넓게 퍼져 있었을 것이다.

소나무는 단순한 자연물이 아니라 세월을 뛰어넘어 이어지는 가르침이자 마을의 정신이다. 세월이 흘러도 소나무는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킬 것이다. 그 아래에서 수많은 세대가 서로를 기억하고, 사랑하며, 하나 되는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 400년의 세월 속에서 소나무는 이렇게 우리의 삶을 품고 있었다.

선한 영향력을 지닌 소나무는…

생태적 영향: 탄소 흡수 및 공기 정화, 생물 다양성 증진, 토양 보호.

문화적·역사적 영향: 기념비적 가치, 전통과 신앙, 정체성 강화.

심리적·정서적 영향: 심리 안정, 힐링 공간 제공.

경제적 영향: 관광 자원, 부동산 가치 상승, 자연 교육 자원.

/글·사진=장은재 작가

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 탐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