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고은은 말했다. “그저 나이를 많이 먹었다고 노인이 되는 건 아니다. 아무리 젊어도 뒷방에 앉아 폼 잡고 헛기침이나 하고 있다면 그는 벌써 노인이다.”
노인과 청년을 가르는 건 마음가짐과 태도다. 거기에 더해 삶과 자신의 일에 대한 열정의 유무가 청년과 노인을 구분하는 잣대가 돼야 마땅하지 않을까?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맹렬한 의지가 없다면 나이와 무관하게 노인 대접을 받게 된다.
최근 회갑이 목전인 58세의 축구선수가 40년째 프로리그에서 뛰게 됐다는 보도가 나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전 일본 축구 국가대표였던 1967년생 미우라 카즈요시가 바로 그 화제의 인물.
미우라는 일본 축구가 ‘한국 공포증’에서 벗어났던 1990년대 일본 국가대표팀의 주요 공격수였기에 한국 축구팬에게도 익숙한 선수다.
최근 미우라의 원 소속팀인 요코하마FC는 일본 풋볼리그 소속 아틀레티코 스즈카에 지난해 임대한 미우라의 이적 기간을 내년 1월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미우라는 아들 또래의 선수들과 그라운드를 누비게 됐다. 축구는 체력 소모가 엄청난 운동이다. 그러니 58세 현역은 물론, 40대 이상의 현역 선수도 보기가 어려운 게 현실.
그럼에도 미우라는 “1분 1초라도 더 그라운드에서 뛰며, 한 골이라도 더 많이 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뜨거운 각오를 밝혔다. 청년의 태도와 축구에 대한 열정이 없었다면 나올 수 없는 말이다.
2000년까지 일본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A매치에서 55골을 넣은 25년 전 미우라의 투혼이 올해도 축구장에서 발휘되길 기대하는 팬들이 적지 않을 듯하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