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가 장은재의 명품 노거수와 숲<br/>(58) 포항 내연산 겸재 천년송
2025년 뱀띠 새해를 맞이하여 지혜롭고 진중하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변화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한 해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내연산 향로봉을 오르면서 계곡의 아름다움에 반해 또다시 이곳을 찾으리라고 마음을 먹은 지 10여 년이 훌쩍 지났다. 그러던 차 노거수회를 창립한 이삼우 회장님의 전화를 받고 내연산 계곡의 비경이 파노라마처럼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겸재 정선이 그린 ‘내연산폭포도’와 ‘고사의송관란도’에 그려진 노송이 이 계곡 암벽 위에 실제 자라고 있다고 하면서 함께 가서 보기를 권했다.
내연산 절벽에 사는 ‘천년송 형제’
겸재의 그림 속 소나무와 꼭 닮아
하늘 향해 구불구불 뻗은 가지와
바위에 깊게 박힌 뿌리에 경외감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 넘어서
자연과 삶의 가치 일깨우는 스승
300여 년 전 그린 작품에 나오는 소나무가 실제 현존하고 있다는 이야기에 가슴이 뛰었다. 천원권 지폐에 실린 ‘계상정거도’는 예술적 감각과 조선의 자연미를 상징적으로 잘 묘사한 문화적 의미가 깊은 겸재 정선의 작품이다. 내연산 계곡의 아름다운 자연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인정한 마당에 그림 속의 노송을 천연기념물 반열로 올려놓는 것이 옳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바위 위나 틈새에 살아가는 소나무 사진 마니아들도 있다. 그 끈질긴 삶의 모습에 매료되어 위험천만한 곳도 아랑곳 하지 않고 찾아다니며 사진을 찍어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우리 국민 또한 그러한 암벽의 바위 소나무를 환호한다.
우선 미루고 보는 나의 성격과 빠른 세월 때문에 어영부영하다 보니 그로부터 수개월이 훌쩍 지났다. 더는 늦출 수 없다고 생각하여 지난 연말에 노송을 찾아 나셨다. 먼저 겸재 정선의 ‘내연산 폭포’ 진경산수화를 찾아 노송의 위치를 마음속으로 새겼다. 화가의 붓끝에 내 마음을 싣고 캠퍼스를 종횡무진으로 누비었다. 듬뿍 묻힌 붓끝을 꾹 눌러 대담하고 굵은 선으로 폭포 주변 바위의 견고함과 자연의 역동성을 표현해 나갔다.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줄기는 부드럽고 유려한 선으로 표현되어, 거친 바위와 대비를 이루었다. 먹의 농담을 활용해 산과 바위의 질감을 묘사하고, 채색으로 나무와 폭포, 바위, 산 등 자연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그 붓끝의 마침은 아니나 다를까 기암괴석 절벽 위 천년송이었다. 만고에 움직일 수 없는 깎아지른 큰 바위 절벽 폭포 위에 충절의 푸른 노송을 심어 놓았다. 암벽 바위 위에 살아가는 노송을 찾아내어 그림 속에 담아 영원히 잊혀지지도 없어지지도 않는 불멸의 ‘겸재 천년송’으로 재탄생해 놓았다. 그런 악조건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살아가는 푸른 소나무는 끈질김과 굳센 의지를 말해주었다. 하늘 높이 우뚝 솟은 바위산은 무한한 가능성을 말해주고 계곡을 타고 흐르는 맑은 물은 동해에 발을 담그고 영원히 마르지 않는 꿈을 꾸고 있다. 붓끝은 하나의 망설임도 없이 흐르는 물처럼 때로는 휘몰아치는 바람처럼 거침없었다. 그렇게 하여 그림 속 소나무의 실제 위치와 형태 등 생태를 상상해 가슴에 품었다.
현장에 도착했다. 학소대 기암절벽과 바위암 선일대, 물보라를 일으키는 연산폭포 등 한 폭의 산수화로 펼쳐 놓은 풍경이었다. 내연산의 풍광을 보며 300년 전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여기서 시작됐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현장의 복잡함 자연의 풍경을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움과 힘찬 에너지를 느낄 수 있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다순함은 궁극의 세련됨이다.’라고 말했다. 그렇다. 단순함은 가장 복잡한 과정을 통과한 마지막 결정체인 다이아몬드와 같기에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 내연산의 절벽과 낙하하는 물줄기, 주변의 수목이 조화를 이루며, 단순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를 담았다. 자연 속에 담긴 유교적 이상과 조화로운 인간 정신을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겸재의 그림은 내연산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게 해주었다. 그뿐만 아니다. 모르고 무심하게 지나칠법한 높은 암벽 바위를 붙들고 살아가는 끈질긴 소나무의 생명력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세월의 풍파 속에서도 묵묵히 제 자리를 지키고 있는 노송을 보고도 그곳을 찾아가는 데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절벽의 바위 위에 있는지라 접근할 수 없었다. 이삼우 노거수회 회장님과 통화를 하고 스케치한 그림을 카카오톡으로 송부받아 겨우 접근 할 수 있는 바위 틈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천년송 가까이 갔을 때도 고소공포증이 있는 나로서는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어 멀찌감치서 사진을 촬영하고 그 생명의 끈질김을 감상하고 겨우 엎드려 팔을 뻗쳐 손으로 악수하고 심호흡했다. 절벽 바위 위에는 다섯 그루의 소나무가 살아가고 있었다. 나이를 짐작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저 천년송 오 형제라 이름을 붙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덩치가 큰 소나무는 그래도 약간의 흙냄새를 맡을 수 있지만, 나머지는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형국이었다. 아마 납작하고 가느다란 긴 뿌리가 멀리 계곡으로 발을 뻗고 있지 않을까? 그저 신비할 따름이다.
겸재의 붓끝에서 피어난 그림 속 노송을 눈으로 직접 마주하니, 그의 마음에 스며들었을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하늘을 향해 구불구불 뻗어나간 가지는 마치 시간을 초월한 손짓처럼 보였다. 천년의 세월을 견디며 이 자리를 지켜온 노송은 단순한 나무 그 이상이었다. 그 안에는 자연의 고고한 품격과 생명력, 그리고 우리에게 남긴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노송 아래에서 나는 눈을 감았다. 나무를 타고 흐르는 시간의 숨결, 바위 속 깊이 자리 잡은 뿌리가 전해주는 묵직한 에너지가 온몸을 감쌌다. 그의 붓끝이 그린 단순한 풍경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 그리고 시간이 쌓아 올린 경외의 기록이었다. 이 나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려는 식물학자이며 향토 사학자이시고 노거수회를 창립한 이삼우 기청산식물원 원장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 또한 이 나무가 단지 한 그루의 나무를 넘어 자연유산임과 동시에 우리 삶에 깊이 스며든 문화유산으로 남기를 진심으로 기원했다.
나는 겸재의 그림 속에서 이 폭포와 노송이 어우러진 장면을 떠올렸다. 그가 붓끝으로 표현하려 했던 것은 단지 자연의 형태가 아니라, 자연을 대하는 그의 철학과 마음이었음을 깨달았다. 노송과 폭포는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이 아니다. 그것은 시간을 초월한 자연의 위대함을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스승이다. 이러한 자연유산을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이야말로 우리에게 자연의 진정한 가치를 일깨운다. 만약 이 노송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면, 그것은 단순히 하나의 나무를 보호하는 것을 넘어, 자연과 사람 사이의 연결고리를 다음 세대에 전하는 일이 될 것이다. 겸양의 미덕으로 평생을 살아온 겸재 정선의 삶의 철학과 도덕을 본받을 수 있을 것이다. 겸재 정선의 붓끝에서 태어난 천년 노송과 폭포는 여전히 우리 곁에서 숨 쉬고 있다.
겸재 정선(1676~1759)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다.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畫)를 창시했다. 1733년 영조 때 청하 현감을 지냈다. 부채 그림인 ‘고사의송관란도(高士倚松觀瀾圖)’와 ‘청하 내연산폭포도’에 등장하는 소나무와 아주 흡사한 소나무가 현재도 내연산 폭포 벼랑 위에서 자라고 있다.
그림 속의 소나무를 현재 벼랑 위의 소나무로 특정하고 ‘겸재송’이라 최초로 이름한 것은 포항의 이삼우(李森友) 기청산식물원 원장이다.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한국의 자연과 전통미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계상정거도(천원권 지폐에 실린 그림),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월송정, 망양정 등 많은 작품이 있다.
/글·사진=장은재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