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남의 나라 전쟁터에 보내진다는 건 개인의 고통인 동시에 국가적 비극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는 지역으로 북한 군인들이 파병됐다는 소식에 이어 그들 중 다수가 전투 중 사망하거나 다치고 있다는 뉴스가 들려온다. 청춘의 한 시절을 군대에서 보낸 한국 남성들은 그들의 처지가 안타까워 혀를 찬다.
미국 정부에 따르면 변변찮은 장비만을 갖추고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 1000여 명이 벌써 사망했다고 한다. 북한군은 주로 우크라이나 군대가 점령한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에서 목숨을 잃었다. 미국 고위 당국자의 지적처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자신들의 땅을 되찾기 위해 외국 군대(북한군)를 동원한 건 몹시 우려스러운 일”이 분명하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와 북한군 장교들이 병사들의 투항을 막기 위해 처형도 불사하고 있다”는 끔찍한 이야기를 전했다. 북한 군인들은 고향에 남겨진 가족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생포될 위기에 처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말까지 떠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무고한 청년들을 죽인 죄를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2차대전 시기. 러시아는 전쟁이 뭔지도 모르는 시골 청년들을 징집해 3명당 총 1자루만을 주고 독일군의 포탄이 쏟아지는 전장으로 내몰았다. 20세기의 비극이 21세기에도 반복되고 있는 러시아. 그 비극의 대상이 북한 젊은이들로 옮겨간 형국이다.
2025년 새해가 밝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포연이 하루바삐 걷히고, 끌려간 북한 군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형제와 재회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빈다.
/홍성식(기획특집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