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장군(冬將軍)은 혹독한 추위를 용맹하고 무서운 장군의 모습으로 빗대 쓰는 표현이다. 기온이 많이 내려간 겨울철이 되면 “동장군이 기승을 부린다”는 말을 보통 잘 쓴다. 반대로 무더운 여름 더위를 빗대 하장군(夏將軍)이란 말을 쓰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아마 더위보다 추위가 사람들에게 견디기가 더 어려운 탓인지도 모른다.
이 말은 1812년 프랑스의 나폴레옹이 60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에 쳐들어갔다가 혹독한 추위 때문에 후퇴한 사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곳곳에서 전승을 올리던 나폴레옹도 추위 앞에 완전히 굴복한 것이다. 당시 영국 언론은 나폴레옹의 원정 실패를 ‘General frost’라고 썼다. 일본이 그것을 동장군으로 번역한 것이 지금까지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48년 서울의 한 일간지가 동장군이란 말을 신문에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러시아 전쟁에서 패퇴하면서 결국 몰락의 길로 가게 된다. 러시아는 나폴레옹 전쟁뿐 아니라 북방전쟁,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소전쟁 등에서도 동장군의 도움으로 승리하는 행운을 얻는다.
매서운 추위는 전쟁에 출전하는 장병들에게는 최악의 장애물이다. 맹추위는 장병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영하의 날씨에 계속 노출되면 손발이 어는 동상 환자가 속출할 수 있다. 전쟁은 커녕 제 몸 가누기조차 힘들게 된다. 식량도 얼어 제때 밥을 못먹게 돼 군의 사기는 땅바닥으로 떨어진다.
지구 온난화로 올겨울은 겨울답지 않게 따스했다. 그러나 이번 주 들면서 전국에 강추위가 예보되고 있다. 한번은 지나갈 동장군 소식이다. 단단히 맞을 준비를 해야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