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미래 인구변동 전망 <br/>2022년 263만서 26만명 줄어<br/>유소년층 급감·고령화도 심각
경북도가 시·군별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시의성 있는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해 ‘경북 시·군 장래인구추계(2022~2042년)’ 결과를 공표했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추계는 통계청 ‘2022년 인구총조사’, ‘시·도 장래인구추계(2024년 5월)’ 결과를 기초로 최근까지의 인구변동 요인(출생·사망·이동)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 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20년(2022~2042년)간 시·군별 장래인구를 전망했다.
조사는 시·군별 △연령별 총인구 △주요연령계층(유소년·생산연령·고령·학령) △주요인구지표(인구성장률·부양비·노령화지수·중위연령)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이동)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결과 최근의 인구변동 요인이 향후 지속된다면 총인구는 2022년 263만 명에서 26만 명(9.8%)이 감소해 2042년에는 237만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시·군별로는 영천, 청도, 울릉의 경우 중장년층 유입 등으로 소폭 증가하지만 나머지 시·군은 출생보다 사망자가 많은 자연 감소와 인구 순유출이 지속되어 총인구가 감소할 것이라고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군에서 △유소년인구(0~14세)가 2022년 28만 명에서 2042년 15만4000명으로 45.1% 감소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22년 175만 명에서 2042년 117만6000명으로 32.8% 감소 △고령인구(65세이상)는 2022년 59만6000명에서 2042년 104만 명으로 74.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생산 가능 나이 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과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22년 50명에서 2042년에는 101.5명으로,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22년 213명에서 2042년 676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인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역 불균형의 양상은 도내 시·군에서도 같이 나타나고 있다. 포항, 구미, 경산 등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지역은 인구구조가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도내 대다수의 군 지역에서는 청년층 유출, 유소년인구 급감 등 인구감소의 위험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강은희 AI데이터과장은 “최근 추세가 지속되면 인구 고령화가 심화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으나, 경북도가 ‘저출생과의 전쟁’, ‘청년이 머무는 경북’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이러한 추세 반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시·군별 자세한 인구추계 결과는 도 홈페이지(경북소개–경상북도 통계포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