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갑 여는 게 애국

등록일 2024-12-19 18:33 게재일 2024-12-20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조선 후기 실학자로 ‘북학의(北學議)’라는 책을 쓰고 청나라 등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 박제가의 우물론은 지금도 경제학에서 잘 인용되는 구절이다.

“무릇 재물은 우물과 같다. 우물은 퍼서 쓸수록 자꾸 채워지는 것이고 이용하지 않으면 말라 버리는 것”이라 했다. 침체된 경제에는 절약이나 저축보다 소비가 미덕이라는 것을 주장한 그의 말이다.

그는 소비 부족이 기술개발의 중단, 실업자 유발, 생산위축과 경기침체를 가속화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과 소비의 균형적 모색이 필요하다고 했다. 사치를 부추긴다는 이유로 그의 주장은 당시 양반사회로부터 비난도 받았지만 조선 말기 사회분위기로 보아 놀라운 탁견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그의 이런 이론이 유효수요 이론의 대가 케인스보다 150년 앞선 이론이라 칭찬하는 이도 있다.

1년 중 가장 붐비는 연말연시를 맞았으나 올해는 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연말 특수가 실종됐다.

연말 특수를 애타게 기다리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음식점은 송년 모임이 잇따라 취소되고 호텔숙박업계도 오겠다는 고객들이 취소하는 바람에 비상이 걸렸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우리 경제의 실핏줄과 같은 존재다. 골목경제가 제대로 돌지 않으면 국내경제 전반에 먹구름이 몰려들 수밖에 없다. 나라에 따라 내수경기 활성화만으로 국내경제가 잘 돌아가는 곳도 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직시, 공무원에게 송년회나 연말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지금은 모두가 지갑을 열고 소비에 나서는 게 애국하는 길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