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맞춤형 저출생 대응을 위해 올해 7월 인구정책과를 신설하고 결혼, 출산, 양육, 청년, 취약계층 주거안정 전반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호평을 받고 있다.
시는 결혼을 고민하는 미혼남녀를 위해 연 4회 만남의 장을 열어 결혼을 장려하고, 임신 준비부터 출산, 양육까지 세심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난임 부부를 위한 시술비 최대 4200만 원 지원을 비롯해, 산모와 신생아 건강 관리사 파견, 유축기 대여 등 출산 후에도 체계적인 후속 지원을 강화했다.
다자녀 가정 지원 범위도 기존 3자녀 이상에서 2자녀 이상으로 확대하고, 15만 원 상당의 출산 축하꾸러미 지원도 모든 출산가정으로 확대했다. 첫만남이용권과 아동 부모급여 인상 등으로 부모의 양육 부담도 줄였다.
아울러 특별교부세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현재 공공산후조리원과 실내 놀이터 복합건물을 건립하는 등 지역사회가 함께 아이를 키우고 보살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청년 인구 유출을 방지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동시는 ‘안동형 일자리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을 통해 지금까지 300여 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했다. 창업 경진대회와 창업 지원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 창업자들을 발굴·지원했다.
여기에 청년도전 지원사업으로 취업 장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청년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경제적 부담을 덜었다.
청년 월세 특별 지원사업을 통해 무주택 청년들에게 월 20만 원씩 최대 1년간 지원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도 확대해 청년의 주거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는 등 청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맞춤형 신규 사업도 시행했다.
무주택 저소득가구와 신혼부부가 저렴한 비용으로 주거 안정을 누릴 수 있도록 4400여 세대에 임차급여를 지원하고 230여 세대에는 수선유지급여를 제공했다.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임대보증금 이자 부담을 경감하는 지원책도 시행했다. 특히 영구임대주택 입주자 보증금을 융자와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건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 아기 키우기 좋은 특화된 주거단지도 계획하고 있다.
권기창 시장은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특히, MZ 세대 직원과 미혼남녀 만남 프로그램 참여자, 출산 교실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해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시민이 원하는 사업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