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상기후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허명화 시민기자
등록일 2024-11-26 19:22 게재일 2024-11-27 12면
스크랩버튼
예측 어려운 기상이변은 불안·긴장·걱정 등 건강에 부정적<br/>먹거리 물가를 오르게 하는 ‘기후플레이션 시대’의 도래도
포항시 북구 우창동 마장지 산책길에 때아닌 철쭉이 활짝 피어있다. 불시개화를 맞았는데 봄에 다시 꽃을 피우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지난여름은 모두가 ‘역대급 더위’를 외치며 힘든 시간을 보냈다. 그 더위는 11월 중순까지 이어져 낮 기온이 20도 안팎을 오르내렸고 그 덕에 여름에 없던 모기까지 기승을 부리며 때 늦은 모기와의 전쟁을 치렀다. 더위를 물리고 기다렸던 풍요와 단풍의 계절인 가을은 한 달 늦은 11월에서야 그 정취를 맛보았다. 평년보다 높은 기온의 가을은 때아닌 봄꽃도 피게 만들어 불시개화를 경험하게 했다. 사람들은 옷장에 잠든 겨울옷을 언제 꺼내야 할지도 고민이다.

이처럼 날씨는 우리 생활의 기본요소인데 계절을 잊어버리게 만드는 기온 상승은 단순히 일상을 불편하게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폭염과 폭우, 태풍 등의 과격한 이상기후를 겪고 있는 지금, 기후의 변화는 건강을 비롯하여 경제와 사회 등의 여러 가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먼저 건강이다. 예측하기 어려운 이상기후는 불안, 긴장, 걱정 상태를 넘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 몸은 심장과 혈관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신체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특히 환절기에 일교차가 10도 이상 벌어지면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도 급증한다. 특히, 기후 변화에 민감한 사람들은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움과 불면, 호흡 곤란, 근육통이 나타나 다양한 자율신경실조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도 겪게 되어 불안을 더 심화한다. 달갑지 않은 기후 변화는 이제 환경문제인 동시에 개인의 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경제도 마찬가지다. 올봄에는 사과와 배 가격이 지난해의 두 배로 치솟았다. 지독한 폭염은 9월에도 더위가 이어져 햄버거 가게는 토마토 구하기가 어려워졌고 강원도 고랭지의 배추는 폭염에 녹아내려 소비자들은 농산물 공급 불안 사례를 겪었다. 커피와 올리브유 등도 마찬가지였다. 초콜릿의 원재료인 카카오 가격도 올라 초콜릿이 들어간 제품도 덩달아 오를 예정이다. 카카오 생산지의 폭우, 가뭄, 감염병이 겹치며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언제나 불확실성을 가지는 경제는 기후 변화로 인한 농작물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먹거리 물가를 오르게 하는 ‘기후플레이션(climateflation) 시대’라는 신조어를 등장하게 만들었다. 이건 계절마다 제철 음식이라는 말이 이제는 무색해지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상기후가 미치는 영향은 우리가 사는 대구와 경북의 농작물에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농작물의 생산은 개화 지연, 생육 부진, 곰팡이병 발생 등으로 생산량 감소로 인한 피해 농가들은 이상기후에 어떤 안전장치도 없이 맨몸으로 싸우고 있는 것과 같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달 대구기상청에서 발간한 대구·경북 24개 시·군의 기후 경향을 분석한 ‘대구·경북 최근 10년(2014~2023) 기후 정보집’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야말로 펄펄 끓는 대구와 경북이 되고 있고 폭염일수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그중 포항은 7월의 절반(17일) 이상이 열대야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폭염주의보 발령도 더 잦았다. 또 여름철 강수량은 감소한 데 비해 가을과 겨울의 강수량은 증가했고 강수일수는 평년 97.5에서 1.4일 감소한 96.1일이었다.

기후의 변화는 우리의 생활과 떨어질 수 없고 그 영향을 고스란히 받으며 살아간다. 올가을 온화한 날씨가 이어졌는데 겨울은 또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 궁금하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