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을 움직이는 힘

등록일 2024-11-24 19:22 게재일 2024-11-25 18면
스크랩버튼
엄주선 포스텍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엄주선 포스텍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최근 정년퇴직하는 연령대는 6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로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이끈 주역들이다. 이들이 입사할 당시는 급격한 산업화로 철강수요가 증가하여 많은 생산량을 필요로 하였기에 설비가 지속적으로 증설되면서 짧은 기간에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입사를 하였다. 이들은 설비를 처음 도입 단계부터 시운전을 거처 수십 년간 정상적으로 운영해왔기 때문에 경험과 실력을 모두 겸비하고 있은 세대이기도 하다.

이렇게 경험과 실력을 겸비한 인재들이 최근 대거 정년퇴직을 하면서 2030세대 직원들도 동시에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개선에 대한 성공 체험을 한적이 없다 보니 현장 활동에 동참하는 것을 꺼리며 심한 경우는 왜 굳이 개선활동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반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현재 대한민국의 인구의 변화로 볼 때 어느 현장에서도 동일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젊은 세대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가 필요하다.

첫째는 개선을 왜 필요한지 무엇을 하기 위함 인지를 바르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다. 개선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본인의 일을 쉽고 안전하게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본인의 성장은 물론 회사 이익에 기여 함으로써 일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고 나와 회사가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목표의 설정이다. 생산 품질 원가 안전 환경 측면의 목표를 제시하고 현재 수준과 목표와의 차이를 문제로 도출하여 과제를 선정해야 한다. 목표는 스스로 설정 할 수도 있지만 회사의 지표와 연계하여 상사가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개선이 소통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셋째는 개선 활동에 대한 인정과 격려이다. 개선이 얼마가 진행되었는지 진행과정에 어려움은 없는지 주기적으로 진도를 체크하고 그동안 진행된 부분에 대하여 인정과 격려를 해주면서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같이 도와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서로 소통하게 되고 고마움을 느끼게 되므로 오히려 금전적인 보상 보다도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과 격려이다.

넷째는 성장이다. 개인과 회사의 성장은 개선활동을 하는 궁극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생산과정의 낭비와 문제를 발굴하는 안목을 키우고 개선 역량을 높여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스스로가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 보이는 것을 발견하는 것 보다는 보이지 않는 문제를 발굴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는 그 공정과 설비에 대하여 깊이 있게 학습하지 않으면 할 수가 없다. 그래서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 것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가 보상이다. 당초 목표로 한 개선 성과에 대하여 적절하게 보상하는 체계이다. 이는 지속적인 개선을 하게 하는 동력으로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이지 않는 인정과 성장 보이는 보상이 지속될 때 사람은 변화하고 움직인다.

기업과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