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중 부상을 당한 울릉도 청년들이 결성한 독도의용수비대가 1954년 11월 21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헤쿠라호(450t급), 오키호(450t급)의 독도침범을 격퇴했다.
1954년 11월 24일자 평화신문 및 외교부의 관련 문서 등에 따르면 당시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2척이 독도에 있는 한국 해안포의 사격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포탄 5발 등을 발사했고 일본 측의 피해는 없었지만,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독도 침범은 이로 인해 좌절됐다. 독도의용수비대는 이날을 독도대첩의 날이라고 명했다.
21일 국가보훈부 주최, 독도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회장 최완근) 주관으로 ‘지금 우리 독도 당신 덕분입니다’라는 독도대첩 제70주년행사가 국립대전현충원 및 독도의용수비대 묘역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강정애 보훈부장관, 최완근 기념사업회장, 홍순칠 대장 부인 박영희 대원, 울릉도에서 참석한 이필영 대원 유족 등 독도의용수비대원 유가족, 대전 지역 보훈단체 회원, 전국 중고등학생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국립대전현충원 현충관에서 개최된 기념식에선 국민의례, 대전 소년소녀 합창단의 애국가 제창, 순국선열 및 호국 영령, 독도의용수비대원에 대한 묵념이 진행됐다.
내빈 소개에 이어 독도의용수비대원들이 독도를 지켰던 영상과 생존 대원들의 증언 등 활약 영상이 소개됐다.
이어 대전 소년소녀 합창단의 독도의용수비대원들을 위한 노래, 최완근 기념사업회장의 기념사가 진행됐다. 최 회장은 “독도영웅들의 희생정신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며 “이 같은 행사가 정부가 독도를 수호하겠다는 의지”라고 말했다.
이어 강정애 장관이 독도를 수호하느라 고생한 박영희 대원에게 감사의 꽃다발을 증정했다. 현재 생존대원은 박영희 대원과 울릉도에 거주하는 정원도 대원뿐이다.
강정애 장관은 축사를 통해 “70년 전 일본 침략에 맞섰던 독도 수호 영웅 33명의 투혼과 헌신 덕분에 독도에 대한 영토 주권을 굳건히 할 수 있었다”며 “독도 수호 영웅들의 애국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독도의용수비대원의 업적은 영원히 기려야한다. 행사에 서울 대구 등 전국에서 독도 동아리들이 참석했다는 것에서 독도수호에 대한 희망과 용기가 보인다”며 “이번 행사에 미래세대가 많이 모였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회고사에는 박영희 대원은 “한국전쟁으로 부상 당한 울릉도 청년들이 나라를 위해 독도를 지켰다. 국민의 의무를 다하고자 당연한 일을 했다”고 말했다. 박 대원은 남편을 독도로 보내고 후방에서 대원들을 뒷바라지했다.
이어 미래세대인 고등학교 학생들이 독도 결의문을 낭독했고, 끝으로 독도의용수비대의 노래를 제창했다. 현충관 행사를 마친 독도의용수비대기념 사업회와 유족들은 국립대전현충원 독도의용수비대원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최 회장의 독도의용수비대원 영령들에게 올리는 추모사에 이어 헌화 및 분향, 박영희 대원의 헌화 및 분향이 진행됐다. 작고한 독도의용수비대원 31인의 가족 대표들이 단체로 헌화했고 현충원 군악대 나팔수 소리에 맞춰 묵념을 올렸다.
6·25전쟁 막바지인 1952년 일본은 한국이 북한과 전투에 집중하는 틈을 타 슬쩍 독도를 점령하려 했다. 일본은 독도에 영토 표지판을 세웠고, 독도 근처에서 고기를 잡는 우리 어부들을 쫓아내기도 했다. 어부들은 굴하지 않고 독도에 가서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표지를 세웠다.
그해 7월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장은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명예제대했다. 홍순칠 대장의 고향은 울릉도. 고향에 돌아와 일본의 독도 점령 야욕을 들은 그는 주저없이 독도를 지키기로 했다.
참전 군인과 어선을 운영하던 선주 등 주민 33명을 모아 ‘독도의용수비대’를 출범했다. 무기 등을 마련한 의용수비대는 1953년 4월 어선을 타고 독도에 상륙했다.
3달 뒤인 7월 일본 무장순시함과의 최초 전투를 시작으로 의용수비대는 독도에 접근하는 일본 함선들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소총으로만 무장했지만, 점차 박격포 등 중화기도 갖췄다.
1954년 11월 21일. 그날은 일본이 대규모 병력을 독도에 보냈다. 무장순시함 2척이 독도에 접근했고, 의용수비대는 비상이 걸렸다.
33명의 용사들은 무장 순시함 헤쿠라호와 오키호가 독도 인근 500m 지점에 진입하자 M1소총과 박격포 공격을 퍼부었다. 맹렬한 기세에 놀란 일본 군함들은 배를 돌려야 했다.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해당 전투는 의용수비대가 일본과 싸워 가장 크게 승리한 전투다. 특히 수비대는 박격포 가늠자도 없는 등 열악한 상황에서 완전무장한 일본 군함 2척을 물리쳤다.
의용수비대기념사업회가 2013년 이 전투를 ‘독도대첩’으로 선포한 배경이다. 보훈부는 독도대첩에 대해 “일본이 다시는 독도를 불법 침범하지 못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