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능 가채점으로 본 대구경북 지원가능 대학<br/>지역 중상위권 인문 210점, 자연계열은 231점 이상 받아야<br/>4년제 대학 응시 가능 점수 인문계 109점, 자연계는 116점<br/>영역별 예상 원점수·등급 바탕 자신 정시 지원 가능선 점검
올해 수능 가채점으로 본 대구·경북지역 중상위권 학과 점수는 인문계열은 210점 이상, 자연계열은 231점 이상 받아야 합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6면>
17일 대구 송원학원에 따르면 인문계열의 경우 서울지역 중위권학과 및 대구·경북지역 상위권 학과 228점 이상, 중상위권 학과 210점 이상, 중위권 학과는 191점 이상, 4년제 대학 지원 가능 점수는 109점 이상 받아야 지원 가능하다.
자연계열의 경우 지역대학의 의·약학계열은 273점 이상, 서울지역 중위권 학과 및 대구·경북지역 상위권 학과 231점 이상, 중상위권 학과 204점 이상, 중위권 학과는 189점 이상, 4년제 대학 지원 가능 점수는 116점 이상이면 지원 가능 할 것으로 분석됐다.
각 영역별 원점수는 100점 만점이고 탐구영역은 2과목 점수를 더해 100점으로 국수탐 기준 300점 만점으로 산출했다. 2025학년도 수능 가채점 분석에 따른 3개영역 원점수 기준 진학 가능점수는 인문계는 ‘국어+수학(확통)+사탐’, 자연계는 ‘국어+수학(미적/기하)+과탐’ 기준으로 산정했다.
수험생은 수능 성적 발표 전까지 가채점 결과, 즉 영역별 예상 원점수 및 등급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시 지원 가능선을 점검하고 군별 지원 대학 리스트를 짜야 한다. 단 가채점 단계일 뿐이므로 처음부터 무조건 군별 1개 대학만 고집해 전략을 수립하기보단 다양한 변수와 상황을 고려해 여러 개의 안을 만들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틈틈이 정시 관련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해 내 성적의 유불리를 파악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수험생들은 성적 발표일까지 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논술 또는 면접 등의 대학별고사 대비에 힘써야 한다. 수능시험 직후 각 입시기관은 수능 가채점 결과에 따른 영역별 예상 등급 및 정시 합격 예측서비스를 제공한다. 수험생은 이러한 자료를 통해 수능시험 직후 빠른 가채점을 진행해 자신의 예상 등급 및 정시 지원 가능 대학을 파악한 다음, 수시 지원 지원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 및 대학별고사 응시 여부 등을 파악해야 한다.
만일 가채점 예상점수가 낮아 정시에서 원하는 대학을 지원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들면 남은 수시 일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반면 가채점 예상점수가 잘 나와 수시 지원 대학보다 더 높은 수준의 대학을 정시로 지원 가능하다면, 당연하게도 수시 대학별고사에 응시할 필요가 없다.
논술, 면접 등 대학별고사 준비도 소홀히 하면 안 된다. 수능시험 직후부터 약 2주가량 본격적인 수시 대학별고사가 시작된다. 수능 후 면접고사나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에 지원했으며 이들 대학별고사 응시를 결심한 학생이라면 지체 없이 바로 고사 대비에 들어가야 한다. 면접고사의 경우 입학처 사이트에 공개된 모집요강 및 기출문제, 면접 관련 가이드북 자료만으로도 충분한 대비가 가능하다. 지원 대학 및 전형이 어떤 유형의 면접을 실시하는지 파악, 예시 질문 및 답안을 만들어 충분한 구술 연습에 들어가야 한다. 논술고사 역시 지원 대학의 기출문제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