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최상흠의 ‘회화를 통해 회화 벗어나기’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4-11-12 18:14 게재일 2024-11-13 14면
스크랩버튼
전시리뷰 봉산문화회관 2024 기억공작소 Ⅳ‘3개의 에피소드’전<br/>각 작품마다 예술적인 선입감 넘어<br/>파격적 변화… 내달 22일까지 전시
대구 봉산문화회관 2024 기억공작소 Ⅳ 최상흠 작가의 ‘3개의 에피소드’전 모습. /봉산문화회관 제공

최상흠 작가 하면 무엇보다 눈부시게 아름다운 일명 ‘인더스트리 페인팅(Industry painting)’을 먼저 떠 올린다. 그는 캔버스를 바닥에 뉘어놓고 그 위에 아크릴 물감을 섞은 산업용 투명 레진몰탈을 반복적으로 부은 ‘레진몰탈 캐스팅’ 작업으로 널리 기억되고 있다.

대구 봉산문화회관이 대표적인 기획전시인 기억공작소의 올해 마지막 전시, 4번째 전시로 오는 12월 22일까지 마련하는 ‘최상흠-3개의 에피소드’ 전에 선보이는 그의 작품들은 모든 선입감을 뒤집는다. 봉산문화회관 2층 4전시실인 기억공작소로 들어서면 전시장 바닥에 설치된 화려하고 부드러우며 맑고 밝은 화사한 일종의 ‘파스텔 컬러’의 핑크 사물들이 마치 자석처럼 관객을 끌어당긴다, 최상흠은 그 작품을 ‘분꽃(糞花)’(2024)으로 작명한다. 그는 ‘분꽃’의 ‘분’을 ‘분홍색’이 아니라 ‘똥(糞)’으로 표기해 놓았다. 최상흠 작가는 “‘분꽃’은 소똥으로 제작한 작품입니다. 소똥은 2023년 초여름 서산의 한 방목장에서 채집했습니다. 평소 사용하는 조색 재를 혼합해서 얻은 결과물 중에서 붉은 색조의 쇠똥으로 결정했습니다. 그 시점에 누군가가 ‘꽃 같다’라고 해서 ‘금분(金糞)’이 ‘똥꽃(糞花)’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습니다.”라고 소개했다.

관객은 ‘분꽃’을 보고 고개를 들면 거대한 벽면에서 분진(粉塵)을 만나게 된다. 그것은 두루마리 휴지처럼 수직으로 끊어 사용하는, 돌돌이(tape cleaner)에 묻은, 일자와 장소가 적혀 있는 먼지 365장을 벽면에 설치한 것이다. 그는 그것을 ‘먼지 달력’이라고 명명해 놓았다.

작가의 비하인드 스토리는 이렇다. “저의 ‘인더스트리 페인팅’ 작업은 먼지, 송홧가루, 황사, 날벌레, 작업실의 온도와 습도 등에 예민해지기 마련이지요. 레진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동안은 감수해야 할 숙제죠. 불편하고 귀찮은 존재라고 여겨지는 것들은 자기중심적 사고의 결과물이고, 보잘것없이 보이는 존재도 실은 각각의 존재 이유가 있습니다.”

최상흠의 ‘먼지 달력’은 ‘분꽃’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캐스팅’ 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일종의 ‘먼지 드로잉’ 혹은 ‘먼지 회화’인 셈이다.

기억공작소의 또 다른 공간에 설치된 작품 ‘흘러내리기’는 폭 2m와 길이 3m에 달하는 물감들이 마치 폭포수처럼 흘러내린 형국이다. 그는 ‘흘러내리기’ 작품을 앞뒤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8점을 설치해 놓았다. “먼저 천이 아닌 비닐을 씌운 패널을 세워놓고 뒤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장치한 후 패널의 위쪽 모서리 면에서 물감을 부어 비닐을 씌운 면으로 ‘흘러내리기’ 한 것이다.

최상흠의 ‘인더스트리 페인팅’은 산업용 투명 레진 몰탈에 아크릴 물감으로 조색한 다음 경화제를 혼합한 물감을 나무패널에 씌운 캔버스 천에 부어서 제작한다. 컬러를 달리해 물감을 수십 번 반복해 부은 캔버스 표면은 오묘한 컬러가 되고, 캔버스 측면은 표면을 만들어낸 물감들의 흔적들을 드러낸다. 그의 신작 ‘흘러내리기’는 바로 측면을 정면으로 전이시킨 작품이다. 인지하지 못하던 것을 사유를 통해 새롭게 인지하게 된 경험을 시각화한 것으로, 힘을 들이지 않아도 생산되는 糞(분), <8132>(뇨), 티의 모양을 빌려온 것이다. 이것은 상상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관객 스스로 일상을 깊이 들여다보게 하는 장치가 된다.

최상흠은 기억공작소에 설치한 3점의 작품과 함께 일종의 ‘캡션(caption) 작품’도 첨가해 놓았다. 이번 전시 작품을 완성한 후 은유하는 글을 연필로 적어뒀고, 읽는 순서를 설명해 뒀다. 그리고 작품과 함께 배치해 사유의 깊이를 더욱 강조하고, 관객이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생각하게끔 유도한다.

김영숙 봉산문화회관 큐레이터는 “들여다보기를 통해 일상의 단순한 현상들을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사건으로 만든 이번 전시는 아름다움과 추함의 경계를 허물고, 삶 속 의미를 되새기며, 예술의 과정과 결과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를 통해 우리의 사유와 감각을 자극하며, 일상 속에서 간과하기 쉬운 것들을 되돌아보게 만든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