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시간은 어디서 오는가?!

등록일 2024-11-03 18:50 게재일 2024-11-04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2024년 달력이 얇아지고 있다. 10월 말이면 나이 든 사람들을 감상에 젖게 하는 유행가 ‘잊혀진 계절’(1982)이 거리를 소란스럽게 한다. 계절이 오직 10월에만 잊히는 것도 아닐 것인데, 어째서 유독 10월이 거명되는지 모를 일이다. 그런 10월에도 적잖은 비가 자주 내렸다. 그래서 ‘가을비 우산 속’(1978)이란 노래도 곳곳에서 불린 모양이다.

그런데 우리가 시간을 인식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손목시계나 휴대전화에 내장된 시계에서 하루의 시간을 보는 것이 하나이고, 달력으로 1개월 단위의 시간을 포착하는 것이 그 둘이다. 미시적인 시간을 살면서 거시적인 시간을 의식하고 살아가는 유일한 존재가 성숙한 인간이다. 어린아이들은 개미나 매미처럼 지금과 여기에만 초점을 맞추며 시간을 보낸다. 그들이 철이 들 무렵을 사춘기라 하는데, 그것은 그들이 시간의 흐름을 비로소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광속(光速)의 시간대에서 우리는 고도로 진척된 물리학 개념을 따라잡지 못하고 끝없이 표류한다. 이탈리아 양자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1957∼)는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2019)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전적인 시간 개념을 전복(顚覆)한다.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나아간다는 고정된 시간 개념을 분쇄해버리기 때문이다.

‘군도’의 작가 프리드리히 실러(1759∼1805)는 “현재는 쏜살같이 달아나고, 미래는 주춤주춤 다가오고, 과거는 영원히 정지해있다”라고 했다. 이 문장에 따르면, 시간은 미래에서 출발하여 현재를 거쳐 영원히 정지된 과거로 흘러간다. 미래는 현재로 슬금슬금 다가오고, 현재는 쏜살같이 과거로 달아나며, 과거는 죽음보다 견고하게 미동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2012)에서 과학사가(科學史家) 스티븐 제이굴드(1941∼2002)는 직선적인 시간과 순환적인 시간을 지질학으로 풀어낸다. 지층은 오래된 것일수록 아래에 자리하고, 새로운 것일수록 위에 자리한다. 지층만 생각해본다면, 시간은 분명히 과거에서 출발하여 현재를 거쳐 미래로 나아가는 직선적인 흐름을 가진다고 단언할 수 있다. 하지만 직선적인 시간에는 문제가 있다. 이를테면 색바랜 사진에 들어있는 어린 시절 당신의 모습을 보라. 중고교 졸업사진에 뚜렷하게 각인(刻印)돼 있는 당신은 지금 어디 있는가?! 그때의 당신과 지금의 당신은 같은 사람인가?! 사진 속의 당신과 사진을 보고 있는 당신이 진정 같은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 육신은 우리의 통제 영역을 벗어난 존재다.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오장육부, 피부, 뼈, 혈액, 세포 등등)이 순간순간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시라. 어제의 나와 1년 전의 나, 그리고 10년 전 나의 물질적 구성은 전혀 다르다. 우리가 정신 혹은 마음이라 부르는 것 또한 고정불변하지 않은 것이다. 어제의 마음과 오늘의 마음, 한 시간 전의 마음과 지금의 마음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간의 영혼과 육신이 항상(恒常)하지 않다는 사실과 만난다. 시간처럼 인간도 불변한 존재가 아니다. 그러니 사라진 과거와 오지 않은 미래와 작별하고 지금과 여기를 응시하시라!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