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야심차게 준비한 글로벌 기술대전인 ‘2024 미래 혁신기술 박람회’(FIX 2024)가 성공리에 폐막됐다.
23일부터 나흘간 대구 코엑스에서 열린 FIX 2024는 국내외에서 모두 463개 기업이 2071개 부스규모로 참가한 가운데 행사 기간 동안 총 참관객이 13만여 명에 이르는 대성황을 이뤘다.
당초 대구시가 목표로 삼았던 참관객 10만명을 크게 초과했을 뿐 아니라 미래 첨단기술을 지향하는 대구시의 이미지를 널리 알리는 데도 큰 몫을 했다. 대구시는 총평을 통해 참가기업, 참관객, 일반시민 모두에게 높은 만족감을 준 행사로 평가하며 대한민국 혁신기술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앞으로 대구시가 주체가 돼 미래산업을 이끌 수 있도록 FIX를 CES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신기술 플랫폼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무엇보다 섬유업과 기계부품 산업이 주축이던 대구산업계가 미래 혁신첨단산업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홍 시장은 취임 후 “대구가 신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바꿔야 대구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며 모빌리티, 로봇, 헬스케어, 반도체, ABB산업 등 5대 신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오고 있다. 이번 FIX도 기존에 해오던 전문전시회를 통합, 대형화하면서 글로벌 혁신기술을 가장 빨리 확인할 수 있는 국내 최대 박람회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테슬라와 현대 모비스, SKT, 현대로보틱스 등 굴지의 국내외 대기업들이 참가해 신기술을 선보이고 각종 미래 혁신기술의 경연장이 된 것은 대단한 성과다.
대구시도 FIX 2024를 계기로 대구시 산업대전환의 계기로 삼겠다는 각오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구에서 창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에게 FIX 2024가 희망을 안겨준 것은 기분 좋은 일이다.
대구는 지역내총생산(GRDP)이 30년째 전국 꼴찌다. 경제 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산업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 FIX 2024의 성공 개최를 발판삼아 대구시가 추진하는 산업구조 개편 노력에 더한층 속도를 붙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