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호미반도의 획기적인 발전 가져올 추모공원 조성

등록일 2024-10-13 19:21 게재일 2024-10-14 17면
스크랩버튼
이강덕 포항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시대와 종교, 국가에 따라 죽음에 대한 인식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죽음은 또 다른 시작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장묘 시설과 문화는 사회 성숙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유독 생활 필수시설인 화장장과 공동묘지를 기피·혐오시설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일제 강점기부터 본격 조성되면서 노후화된 공간과 환경 문제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회학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반면, 유럽 등 해외에서는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추모 공간이 기피 시설이 아닌 관광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수많은 역사적 인물과 예술가들이 잠들어 있는 프랑스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는 그 자체가 관광 명소이자 ‘문화적 아이콘’으로 관광객 발길을 끊이질 않고 있다. 베토벤, 슈베르트 등이 묻힌 오스트리아의 빈 중앙묘지도 도심 속 공원으로 연간 100만 명 관광객이 들리는 명소이다.

우리 시가 만들려고 하는 추모공원 ‘영일의 뜰’ 역시 이렇듯 해외 선진 사례와 같이 기피시설이란 고정 관념과 부정적인 인식을 말끔히 떨쳐 버리고 도시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로 삼고자 한다.

단순한 추모를 넘어 문화와 예술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고품격 명품 공간으로, 추모객은 물론 시민과 관광객에게 평온함과 감동, 체험과 즐거움까지 전하고자 하는 철학에서 기획됐다.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눌태리 산 일원에 들어설 추모공원은 2028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색·무취·무연의 친환경 화장시설과 봉안시설 2만기, 자연장지 6만기, 유택동산 1곳이 들어선다. 33만㎡(10만 평) 규모 부지의 20% 정도만 장사시설이며 나머지 80%는 조각 공원과 문화 공간 등으로 조성된다.

특히, 추모공원의 화장시설을 지하화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상부에는 국내외 유명 건축가가 참여해 만든 아름다운 건축물과 조각공원을 설치해 유족과 방문객이 함께할 수 있는 힐링공간으로 만들 예정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의 비겔란공원은 ‘북유럽의 로댕’이라 불린 조각가 비겔란과 제자들이 만든 탄생에서 죽음까지 인간의 일생을 표현한 조각품을 곳곳에 배치해 문화와 예술이 함께하는 복합적인 휴양지이자 관광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구룡포 눌태리에 조성하는 추모공원도 이에 못지않은 명품 조각공원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또한 구룡포 자연 경관과 인문학적 특성을 살린 동해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타워, 수목원, 민속학 박물관, 숲속 미술관 등을 조성해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 모두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추모공원 조성을 계기로 구룡포를 중심으로 호미반도 일대를 환동해를 대표하는 해양 휴양관광 거점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계획도 실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호미반도가 보유한 천혜의 해안 경관과 말목장성, 구룡포항 등 자연과 역사적 자산을 모두 활용해 호미반도 명품 관광특구 조성을 추진하는 등 호미반도의 종합적인 발전을 가져올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호미반도 블루 레일로드를 건설해 추모공원과 인접한 해안선을 따라 모노레일을 단계적으로 설치하고, 다양한 해양관광 인프라를 마련하고 있다. 에코 트레킹로드와 오션 투어로드 등 자연과 어우러진 체험형 관광 코스를 만들어 시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을 위한 특색있는 휴양지로 만들고자 한다.

단순한 추모공원 조성이 아닌 이렇듯 종합적인 접근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구룡포와 호미반도가 환동해권의 새로운 관광 중심지이자 일류 생활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해 시민들의 삶과 지역 사회에 도움을 되고자 하는 고민의 결과이다.

구룡포 주민들과 소통과 협업을 통해 조성될 포항 추모공원이 지속 가능한 환동해중심도시 또 다른 랜드마크이자 상생 발전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하길 소망한다.

추모공원이 건립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성원을 해주신 시민 여러분과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구룡포 주민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