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화요일 오전에 대구 수성구에 있는 ‘대한 노인회’에서 ‘노자의 도덕경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를 주제로 강연했다. 대략 70명 정도의 노인들이 강의실에 모여서 선행 프로그램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추석이 지났건만 아침 햇살은 매우 강렬하여 에어컨이 쌩쌩 돌아가고 있었고, 들고나는 노인들 때문에 분위기는 적잖게 산만했다.
강사 소개가 끝나고 그들과 정면으로 대면하면서 준비해간 강연 자료가 유용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에 잠긴다. ‘가능하면 최대한 쉽고 재미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갔지만, 실제로 면대면을 해보니 훨씬 실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16년 이상의 대중강연 경력 덕분에 예정된 강연 자료를 즉각 폐기하고 현장 분위기에 적절한 강연을 하는 것은 내겐 문제가 아니다.
가능하면 그들 하나하나 들여다보면서 강연에 대한 교감을 확인하면서 천천히 열기를 끌어올리기로 한다. 그런데 어디서든 예기치 않은 사건은 일어나기 마련. 맨 뒷자리에 앉은 할머니 두 분이 끝없이 떠드는 바람에 집중력이 자꾸 떨어지고, 인내력은 바닥으로 내려간다. 청중 몇 분이 그들에게 대놓고 눈치를 해도 그들은 오불관언(吾不關焉)이다.
나는 최대한 참기로 하고 한 가지 질문을 한다. “여러분 가운데 나는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분은 손을 드세요.” 강연 중간에 예닐곱 사람이 나갔기 때문에 60여 청중이 자리에 남아 있었다. 그런데 내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일이 벌어진다. 딱 한 사람만 손을 들었기 때문이다. 아니, 이럴 수가 있단 말인가?! 잘산다는 사람들이 많이 산다는 대구의 강남(江南)인데?….
그래서 행복하지 않은 까닭을 묻는다. 그랬더니 자신을 용서할 수 없다는 분도 있고, 산다는 것이 고통으로만 생각된다는 사람도 있다. 대한민국 노인들의 행복 지수가 세계 최저 수준이란 통계는 있지만, 이토록 처절할 줄은 정말 몰랐다. 더욱이 다른 지역에서 무척이나 부러워하는 동네에 사는 노인들의 분노와 슬픔과 절망이 이렇게 깊을 줄이야!….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아서 오래갈 수 있다고 노자는 갈파했다. 도덕경 44장에 나오는 “지족불욕(知足不辱) 지지불태(知止不殆) 가이장구(可以長久)”라는 구절이 위 문장의 출처(出處)다. 만족할 줄 안다는 것은 성숙한 인간의 기본적인 표지(標識)다. 적정 수준에서 자신의 욕망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은 어른의 징표이기 때문이다.
나이 오십이 넘어지면, 인간은 과거의 어두운 기억과 부모의 억압 기제에서 자신을 해방해야 할 의무가 있다. 부모가 강제하고 요구한 덕목과 인생 목표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상당수 중장년은 물론 노인들마저 여전히 그들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다. 그것이 그들 자신에 관한 부정적인 평가와 모멸감의 첫 번째 원인으로 작용한다. 나는 노인들을 위로하고, 가능성을 설명하고, 최대한의 긍정과 자기 확신을 설득한다. 하지만 두 노파는 여전히 웃고 떠들고 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은 명언이다. 나이만 많은 부끄러운 노인들이다. 하되 인문학과 담을 쌓고 살아가는 그들에게도 축복이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