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 공개 표출되며 당정 시끌
최근 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간의 이견이 공개적으로 표출됐다.
한 대표가 제안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는 방안을 대통령실이 공개적으로 거부한데다,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 간 만찬까지 돌연 내달로 미뤄지자 ‘당정 갈등’의 조짐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 25일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을 최대 1509명 확대하기로 한 정부 결정은 유지하되, 내년에 모집할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보류하자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한 대표는 정책을 유지한다는 정부의 입장에도, 지난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료개혁의 본질과 동력을 유지하되, 국민 건강이라는 절대적 가치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덜어 드리기 위해 해결책이 필요하다”면서 “증원을 1년간 유예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며 재차 주장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28일 증원 유예는 없다고 거듭 강조하며 한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특히 한 대표가 의대 증원 유예 주장을 굽히지 않고 대립각을 세운 것에 대해 “대안이라기보다 사실상 증원하지 말자는 얘기 같다”며 꼬집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도 (한 대표의) 중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고, 2025학년도 정원 자체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유예하자는 것은 대안이라기보다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이야기와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6학년도 정원은 지난 4월 말에 대학별로 정원이 배정돼 공표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학생들과 수험생들, 학부모들이 함께 이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가운데 대통령실이 30일로 예정됐던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 간 만찬 일정도 추석 이후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추석을 앞두고 식사 회동보다 민생 대책 고민이 우선이라는 이유지만, 당정 소통을 위해 만찬을 갖는다며 발표한 지 이틀 만에 번복한 것을 두고 한 대표에 대한 대통령실 불편한 심기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를 둘러싸고 당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분위기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증원 유예를 심도 있게 논의한 적 없다며 대통령실 입장에 힘을 실었다.
추 원내대표는 “(한 대표가) 여러 의료 단체, 또는 전문가와 얘기를 나누면서 아마 생각을 정리한 것 같은데 유예와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사전에 심도있게 상의를 하거나 그런 적은 없었다”며 “의료개혁은 한 치도 흔들림 없이 진행이 돼야 한다는 데 대해 정부의 추진 방침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당도 함께할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